1. 여행 일자 : 2022년 2월 26일 토요일 2. 여행지 : 하조도 등대(역사가 있는 등대) 3. 소재지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창유리 1-2 4. 하도조 등대 소개 조도군도를 지나는 배들의 길잡이인 하조도 등대는 1909년 만들어져 우리나라에서 100년 안팎의 등대 가운데 몇 안되는 유인등대로 높이 48m 하조도 끝자락 마디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옆으로는 만 가지 형상을 한 만물상 바위와 더불어 그 풍경이 아름다워 여행객이 가장 가고 싶어 하는 곳이기도 하며, 방송 및 영화나 드라마 배경으로도 자주 등장하고 있다. 5. 하조도 등대 다음지도 및 교통편(찾아가는 길) 1) 하도조 등대 다음지도 2) 교통편 : 진도항(팽목항)에서 하조도 창유항까지는 배편을, 유토마을에서 하조도등대까지는 현지전세버스를..
1. 여행 일자 : 2022년 3월 26일 토요일 2. 여행지 : 남해 다랭이마을 3. 소재지 : 경남 남해군 남면 홍현리 4. 남해 다랭이마을 소개 1) 다랭이마을 다랭이마을은 남해의 최남단에 위치한 마을로서 설흘산과 응봉산의 정기를 받고 있다. 서쪽으로는 여섯 부처님이 탄신하여 승천하였다는 육조문이 있으며 남으로는 자식없는 사람이 공을 들이면 득남한다는 미륵불이 있다. 마을 앞바다를 보면 그 유명한 세존도와 소치도가 바라보이고 산수가 수려하여 평화롭고 인심 좋은 곳이다. 한번 오면 다시 찾는 고장으로서 사람이 살아온 자세한 기록은 보존하고 있지 않지만 경남도 기념물 제247호인 설흘산 봉수대와 경남도 민속자료 제13호인 암수바위의 전설 등으로 미루어 보아 고려 이전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
1. 여행 일자 : 2022년 3월 5일 토요일 2. 여행지 : 보길도 윤선도원림, 세연정(洗然亭) 3. 소재지 : 전남 완도군 보길면 부황길 57 4. 보길도 윤선도원림, 세연정(洗然亭) 소개 세연(洗然)이란 '주변 경관이 물에 씻은 듯 깨끗하고 단정하여 기분이 상쾌해 지는 곳'이란 뜻으로, 「고산연보(孤山年譜)」 에서는 1637년 고산이 보길도에 들어와 부용동을 발견했을 때 지은 정자라 하고 있다. 정자의 중앙에 세연정(洗然亭), 동쪽에 호광루(呼光樓), 서쪽에 동하각(同何閣), 남쪽에 낙기란(樂飢欄)이란 편액을 걸었으며, 또 서쪽에는 칠암헌(七岩軒)이라는 편액을 따로 걸었다. 5. 보길도 윤선도원림, 세연정 다음지도 및 교통편(찾아가는 길) 1) 보길도 윤선도원림 세연정 종합안내도 및 다음지도 2)..
1. 여행 일자 : 2022년 2월 26일 토요일 2. 여행지 : 팽목항(진도항) 3. 소재지 : 전남 진도군 임회면 진도항길 101(남동리 659-3) 4. 진도 팽목항(진도항) 소개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팽목리에 있는 항구로 연안항으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는 진도에서 대마도, 조도, 관매도 등을 연결하는 항로의 출발지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2013년 팽목항에서 진도항으로 개명하였으나, 2014년 세월호 참사시 팽목항으로 알려져 지금도 진도항보다는 팽목항으로 더 널리 불리고 있다. 전남 진도에서 제주도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카페리 여객선이 2022년 5월 취항할 예정이다. 5. 진도 팽목항(진도항) 다음지도 및 교통편(찾아가는 길) 1) 팽목항(진도항) 다음지도 2) 교통편 : 교통편에 대한 정보는..
1. 여행 일자 : 2022년 2월 22일 화요일 2. 여행지 : 통영 한산도 제승당(制勝堂) 3. 소재지 :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한산일주로 70(두억리 산 39) 4. 통영 한산도 제승당(制勝堂) 소개 제승당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조선 선조 25년(1592)에 일어난 임진왜란 때 세계해전사상 길이 빛나는 한산대첩을 이룬 후, 제승당을 짓고, 선조 26년(1593)부터 선조 30년(1597)까지 삼도수군의 본영으로 삼아 제해권을 장악하고 국난을 극복한 유서깊은 사적지이다. 선조 30년(1597)에 일단 폐진되었던 제승당은 142년 후인 영조 15년(1739) 통제사 조경이 중건하고, 유허비를 세운 이래 1959년 정부가 사적으로 지정하고 여러차례 보수하여 왔다. 1975년 정부는 경역을 확장하고 ..
1. 여행 일자 : 2022년 1월 1일 토요일 2. 여행지 : 정동진(正東津) 3.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정동역길 17(강동면 정동진리 303) 4. 강릉 정동진(正東津) 소개 ‘정동진’은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에 위치하고 있는 바닷가로 한양의 광화문에서 정동쪽에 있는 나루터가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이름 지어졌다. 이곳은 전국 제일 해돋이 명소로 유명하며 많은 관광객이 새해 일출을 감상하러 오는 관광지이기도 하다. 정동진역은 1962년 11월 6일에 여객과 화물을 취급하는 보통역으로 개업하였으나 석탄 수송이 주 업무였던 시골의 조그마한 역인데, 1995년 SBS드라마 「모래시계」가 방영되면서 전국적으로 알려졌다. 이때부터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하였고, 1997년 2월 철도청 해..
1. 여행 일자 : 2021년 12월 25일 토요일 2. 여행지 : 철원 한탄강 주상절리길 잔도 트레킹 + 철원 한탄강 물윗길 트레킹 + 직탕폭포 + 고석정 3. 소재지 : 강원 철원군 동송읍 태봉로 1825 4. 고석정(Goseokjeong, 孤石亭) 소개 한탄강 협곡에 홀로 우뚝 서 있는 화강암 바위와 일대의 정자를 고석정이라고 한다. 이 일대의 기반암을 주로 구성하고 있는 화강암은 1억년 전의 중생대 백악기에 용암에 의해서 형성되었습니다. 그러나 약 54만 년~12만 년 전에 분출한 현무암질 용암류에 의해 고석은 완전히 파묻혔고, 이후 강물의 침식작용을 받아 다시 지표에 그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따라서 고석은 용암대지 형성 이전의 원지형을 관찰할 수 있는 중요한 지형·지질 유산입니다. 또한 아름다운..
1. 여행 일자 : 2021년 12월 25일 토요일 2. 여행지 : 철원 한탄강 주상절리길 잔도 트레킹 + 철원 한탄강 물윗길 트레킹 + 직탕폭포 3. 소재지 : 강원 철원군 동송읍 직탕길 94 4. 한탄강 직탕폭포 소개 직탕폭포(直湯瀑布)는 우리나라의 다른 폭포들과는 달리 하천면을 따라 넓고 평평하게 펼쳐져 있는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현무암 위로 오랫동안 물이 흐르면서 풍화와 침식작용을 받는 과정에서 현무암이 주상절리를 따라 떨어져 나감으로써 계단 모양의 폭포가 형성되었습니다. 높이는 약 3m에 불과하지만 너비는 약 80여 m에 이르는데, 폭포의 모든 면에서 물이 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5. 직탕폭포 다음지도 및 교통편(찾아가는 길) 1) 직탕폭포 다음지도 2) 교통편 : 직탕폭포의 교통..
1. 여행 일자 : 2021년 11월 20일 토요일 2. 여행지 : 옹도등대 + 가의도 독립문바위, 사자바위 + 꽃지해수욕장 3. 소재지 옹도등대(충남 태안군 근흥면 가의도길 44-69), 가의도(충남 태안군 근흥면 가의도리) 독립문바위 · 사자바위, 꽃지해수욕장(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4. 꽃지해수욕장 소개 꽃지해수욕장은 넓은 백사장과 할미바위, 할아비바위가 어우러져 그림 같은 풍광을 보여준다. 2개의 바위 너머로 붉게 물드는 낙조는 태안을 상징하는 아름다운 풍광 중 으뜸으로 꼽힌다. 예부터 백사장을 따라 해당화가 지천으로 피어나 ‘꽃지’라는 어여쁜 이름을 얻었다. 긴 백사장을 따라 걷거나 밀려오는 파도를 바라보며 데이트를 즐기는 연인과 가족의 모습은 꽃지해수욕장의 또 하나의 풍경이 된다. 꽃..
1. 여행 일자 : 2021년 11월 20일 토요일 2. 여행지 : 옹도등대 + 가의도 독립문바위, 사자바위 + 꽃지해수욕장 3. 소재지 옹도등대(충남 태안군 근흥면 가의도길 44-69), 가의도(충남 태안군 근흥면 가의도리) 독립문바위 · 사자바위, 꽃지해수욕장(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4. 가의도 소개 가의도는 면적 2.19㎢, 43세대가 거주하고 있는 작은 섬입니다. 가의란 이름은 옛날 중국의 가의란 사람이 이 섬에 피신하여 살아서 가의도라 했다는 이야기와 이 섬이 신진도에서 볼때 서쪽의 가에 위치에 있으므로 그대로 가의섬이라고 불렀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중국과 가까이 있어 맑은 날 파도가 잔잔하면 중국에서 개짖는 소리가 들린다고 할 정도로 중국의 산둥반도와 가까이 마주보고 있습니다. 육쪽..
1. 여행 일자 : 2021년 9월 11일 토요일 2. 여행지 : 예천 삼강문화단지와 삼강주막 3. 소재지 :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길 53-23 4. 예천 삼강문화단지와 삼강주막 소개 1) 예천 삼강문화단지 정부의 3대문화권 문화생태관광기반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관광지 조성사업으로서, 낙동강 연안의 우수한 강문화와 생태자원을 관광자원으로 특화하고 기존관광자원과 연계하여 다양한 볼거리와 함께 전시, 체험, 교육이 하나의 공간에서 가능하도록 조성된 새로운 가족형 문화체험 관광지구입니다. 2) 삼강주막 낙동강 700리에 마지막 남은 주막인 삼강주막은 1900년경에 지어진 주막으로 규모는 작지만 그 기능에 충실한 집약적 평면구성의 특징을 가져 건축역사 자료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 134호)로서 희..
1. 여행 일자 : 2021년 8월 16일 월요일 2. 여행지 : 단군성전(檀君聖殿) 3.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상주면 보리암로 694 4. 남해 금산 단군성전(檀君聖殿) 소개 남해 금산 단군성전은 온전한 진리되어짐인 한얼님의 기운으로 대각의 근본되어짐을 크게 알리시고자, 우리 인간의 각을 마다하지 않으시고, 일심일신일체하여 크나큰 은혜로움으로 나타내시어 오신 한인상천황(韓因上天皇), 한웅천황(韓雄天皇), 단군한배검(檀君韓倍檢) 님을 모신곳입니다. 또한 한인상천황님의 조화경전인 천부경과 한웅천황님의 교화경전인 삼일신고와 단군한배검님의 치화경전인 참전계경을 한민족의 후손으로써 높이 받들고 전하여, 참다운 삶을 항상 새롭게 창조하고 발전시키는 곳이기도 합니다. 본 성전은 항상 이와 같이 세분의 삼천님을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