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학림도와 연대도, 만지도 정보 학림도(鶴林島)는 통영시의 산양읍 저림리에 있는 섬이다. 미륵도의 남쪽에 있으며, 서쪽으로 저도, 남쪽으로 연대도와 인접해 있다. 북동에서 남서방향으로 길게 활처럼 휜 모양을 하고 있어 천연의 방파제 역할을 한다. 해안선은 북쪽은 사빈해안, 남쪽은 암석해안이다. 『대동지지』에 따르면 “조도(鳥島)는 춘원면의 남쪽 바다 가운데 있다.”라고 수록하였다. 『호구총수』에도 춘원면 조도리로 적고 있다. 『조선지도』(고성), 『1872년 지방지도』(당포진)에는 조도로, 『광여도』(고성)와『영남지도』(고성)에는 남쪽에 인접한 연대도와 합쳐 조도연대(鳥島烟臺)로 표시하고 있다. 『조선지지자료』에는 학림동(鶴林洞), 새섬으로 기록하였다. 조도, 새섬이라는 지명은 섬의 모양이 하늘을 ..
통영 연대도, 만지도 정보 연대도(烟臺島, Yeondaedo)는 통영시의 산양읍 연곡리에 있는 섬이다. 미륵도의 남쪽에 위치하며, 북쪽으로 학림도, 서쪽으로 만지도 그리고 동쪽으로 오곡도가 인접해 있다. 중앙의 연대봉(220m)을 중심으로 원추형 모양을 이루고 있는데, 북서쪽의 완사면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지형이 가파른 편이다. 해안은 북서쪽 해안은 모래와 자갈로 되어 있고, 나머지는 높이 10m의 해식애로 이루어진 암석해안이다. 섬 북쪽에 연대도 패총(사적 제335호)이 있으며 신석기 시대를 비롯하여 삼국시대와 고려, 조선시대의 토기와 자기들이 출토되었다. 출토 유물 가운데 일본 신석기 시대 토기들도 있어 당시 일본과 교류가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고성)에는 “연대도(煙臺島)는..
통영 두미도(頭尾島, Dumido) 정보 통영시의 욕지면 두미리에 있는 섬이다. 동남쪽으로 욕지도, 북쪽으로 사량도 그리고 서쪽으로 남해군이 있다. 중앙의 천황산(467m)과 북쪽의 투구봉(333m)을 중심으로 섬 전체가 구릉성 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동쪽과 북쪽 해안에 포구와 촌락이 분포하며 나머지 지역 대부분은 급한 사면으로 되어 있다. 해안선은 대부분 해식애로 되어 있고, 남동쪽 해안선이 꼬리처럼 가늘게 돌출되어 있다. 섬 지명은 조선 초기 지리지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세종실록』에 나오는 고성 두밀도(豆密島)가 두미도에 해당하는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해동지도』(고성)에 욕지도 북서쪽에 두미도를 표시하고, 두 섬 사이 남저대해 (南抵大海)라고 적고 있어 먼 바다에 있음을 나타내었다. 두미라..
통영 연화도, 반하도, 우도와 욕지도 정보 연화도는 경남 통영시의 욕지면 연화리에 있는 섬이다. 욕지도 동쪽에 있으며 통영항, 삼덕항에서 섬까지 뱃길이 있다. 연화열도의 주도이며, 섬 서쪽 연화봉(215m) 산지가 통영의 팔경 중 하나인 동쪽 끝 용머리까지 길게 연결되어 있다. 북동 해안을 제외하면 급격한 경사의 해식애가 분포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고성)에는 연화도(蓮華島)로 적고, “둘레가 53리이다. 욕지도와 함께 두 섬은 왜놈의 고깃배가 보통 때 왕래하는 곳이다.”라고 하였다. 『여지도서』(고성)에 는 연화도(蓮花島)로 적고 있다. 지명은 섬의 형상이 먼 바다 가운데 떠 있는 한송이의 연꽃을 닮은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옛날 이곳에서 수도했다고 전해지는 연화도사(蓮花道士)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통영 욕지도 정보 경남 통영시의 욕지면에 있는 섬이다. 면내의 섬 중에서 가장 크고 면 소재지가 있어 중심 역할을 한다. 통영항과 삼덕항 등과 뱃길이 연결되어 있다. 동쪽으로 연화도, 북쪽으로 노대도와 두미도가 인접해 있다. 섬에서 가장 높은 천황봉(392m)이 중앙에 자리하고 있는데 급경사를 이루면서 해안에 몰입하여 곳곳에 험준한 벼랑을 이루고 있다. 해안선은 리아스식 해안으로 굴곡이 심하고 섬 북동쪽 해안 가운데 깊숙한 만이 발달하고 있어 욕지항으로 이용되고 있다. 동항리와 서산리 2개 법정리가 있다. 신석기시대의 패총에서 여러 유물들이 출토되어 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의 정착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나, 조선시대에는 사람이 살지 않는 빈 섬으로 금송(禁松) 지역이었고, 명례궁(明禮宮)에 직속되기도 하였다..
통영 연화도·반하도·우도 정보 경남 통영시의 욕지면 연화리에 있는 섬이다. 욕지도 동쪽에 있으며 통영항, 삼덕항에서 섬까지 뱃길이 있다. 연화열도의 주도이며, 섬 서쪽 연화봉(215m) 산지가 통영의 팔경 중 하나인 동쪽 끝 용머리까지 길게 연결되어 있다. 북동 해안을 제외하면 급격한 경사의 해식애가 분포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고성)에는 연화도(蓮華島)로 적고, “둘레가 53리이다. 욕지도와 함께 두 섬은 왜놈의 고깃배가 보통 때 왕래하는 곳이다.”라고 하였다. 『여지도서』(고성)에 는 연화도(蓮花島)로 적고 있다. 지명은 섬의 형상이 먼 바다 가운데 떠 있는 한송이의 연꽃을 닮은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옛날 이곳에서 수도했다고 전해지는 연화도사(蓮花道士)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는 설 등이 있다. 『..
영광 하낙월도, 상낙월도 정보 낙월도는"달이 지는 섬" 또는 섬 모양이 초승달을 닮았다는 데서 이름이 유래된 낙월도는 위쪽의 상낙월도와 아래쪽의 하낙월도가 연도교로 연결되어 마치 하나의 섬처럼 여겨진다. 상낙월도의 큰갓말골 해수욕장과 하낙월도의 장벌해수욕장이 잘 알려져 있으며, 북서쪽 해변은 자연이 만든 조각공원이라 할 정도로 신비로운 형상을 가진 해식동굴과 기암괴석으로 가득 차 있다. 한 때는 전국 젓새우 생산량의 70%를 차지했을 정도로 새우의 고장이라 일컬어져 왔으며, 그 밖에 꽃게, 민어, 대맛조개 등이 특산품으로 유명하다, 또한 수석의 3요소를 완벽히 갖추었다는 낙월도 묵석도 많은 수석인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영광 하낙월도, 상낙월도 트레킹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트레킹 일시 : 2..
영광 송이도 정보 영광 9경 중의 하나이자 낙월면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송이도는 소나무가 많고 섬의 모양이 귀를 닮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섬의 총면적은 3.68㎢, 해안선 길이는 11km이고, 염산 향화도항에서 매일 2회 운항하는 배를 타고 갈 수 있으며 소요시간은 약 1시간 30분입니다. 마을 앞에 위치한 조약돌(몽돌) 해수욕장은 오랜 세월 동안 파도가 만들어낸 부드럽고 동글동글한 모양의 조약돌이 약 1km 정도 이어져 색다른 풍경을 연출하고 있으며, 그 외에 맛등, 큰내끼의 코끼리 바위 등의 볼거리가 있습니다. 영광 송이도 트레킹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트레킹 일시 : 2025년 1월 26일 일요일, 09:26 - 15:16 2. 트레킹 장소 : 영광 송이도 3. 소재지 : 전남 ..
1. 산행 날짜 : 2022년 4월 23일 토요일 2. 산행지 : 백야도 백호산, 개도 봉화산, 하화도 꽃섬길 3. 소재지 : 백야도 백호산(전남 여수시 화정면 백야리), 개도 봉화산(전남 여수시 화정면 개도리), 하화도 꽃섬길(전남 여수시 화정면 하화리) 4. 안내산악회 산행 및 트레킹 일정 03:50 : 백야도 백호산 백야등산로 버스정류장 도착 03:50 ~ 05:30 : 백야도 백호산 산행 및 2봉 인증 05:30 ~ 06:30 : 식사 및 자유시간 06:55 ~ 07:20 : 백야도 백야항에서 개도 화산선착장으로 이동 07:20 ~ 11:50 : 개도 봉화산 산행 및 인증 12:15 ~ 12:35 : 개도 화산선착장에서 하화도 선착장으로 이동 12:35 ~ 15:40 : 하화도 꽃섬길 트레킹 및 ..
1. 산행 일시 : 2022년 4월 23일 토요일, 07:23 - 11:36 2. 산이름 : 개도 봉화산(335m), 천제봉(328m) 3. 소재지 : 전남 여수시 화정면 개도리 4. 산행 코스 : 개도 화산선착장 → 봉화산 등산로 입구 → 샘골고개(도로) → 팔각정전망대 → 생금산 → 전망바위 → 봉화산(인증) → 천제봉 → 개도사람길 2코스 천길벼랑길 → 개도상수원지 → 청석포해수욕장 → 개도정수장 입구 → 화산삼거리 → 개도 화산선착장 5. 산행 거리 및 소요시간 : 10.34km(4시간 13분) 화산선착장(07:23) → 2.35km → 샘골고개(08:15) → 2.04km → 봉화산(09:18) → 0.52km → 천제봉(09:37) → 3.18km → 개도정수장 입구(10:57) → 2.25k..
1. 여행 날짜 : 2022년 3월 5일 토요일 2. 여행지 : 보길도 격자봉, 세연정, 해남 땅끝전망대, 땅끝탑 3. 소재지 : 보길도 격자봉(전남 완도군 보길면 부황리, 예송리), 세연정(전남 완도군 보길면 부황길 57), 땅끝전망대(전남 해남군 송지면 땅끝마을길 100), 땅끝탑(전남 해남군 송지면 땅끝마을길 60-28) 4. 안내산악회 여행 및 트레킹 일정 04:40 : 해남 땅끝항 도착 후 자유시간 06:40 ~ 07:12 : 해남 땅끝항에서 노화도 산양항으로 이동 07:15 ~ 07:50 : 보길도 망끝전망대로 이동 07:50 ~ 13:10 : 보길도 격자봉 섬산행 * 차량 대기장소 : 보길도 우체국 주변 주차장(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부황리 1-29) 13:10 ~ 13:45 : 노화동 산양..
1. 산행 일시 : 2022년 3월 5일 토요일, 07:57 ~ 12:41 2. 산이름 : 완도 격자봉(格紫峰, 433m) 3. 소재지 : 전남 완도군 보길면 부황리, 예송리 4. 산행 코스 : 해남 땅끝항 → (배편으로 이동) → 노화도 산양항(산양진항) → (산악회버스로 이동) → 보길도 망끝전망대 → 망월봉갈림길 → 망월봉 → 망월봉갈림길 → 뽀래기재 → 누룩바위 → 격자봉 → 수리봉 → 큰길재 → 곡수당 → 낙서재 → 동천석실갈림길 → 세연정 → 윤선도문학관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보길분소 → 보길우체국 주변 주차장 5. 산행 거리 및 소요시간 : 12.84km(4시간 44분) 보길도 망끝전망대(07:57) → 1.47km → 망월봉(08:43) → 1.45km → 뽀래기재(09:15) →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