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고양 북한산 : 북한산성 입구 ~ 의상봉 ~ 나한봉 ~ 삼천사 ~ 하나고 버스정류장

북한산 정보

 

북한산

 

북한산(北漢山 Bukhansan)은 서울시의 성북구·종로구·은평구·강북구와 경기도 고양시에 걸쳐 위치한 산이다(고도:836m). 본래 한산(漢山)이라 불렸는데 ‘큰 산’이라는 뜻의‘산’을 한자로 차음 하여 표기한 것이다. 한산이란 이름은『삼국사기』,『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등에 보이며, 서울 지방의 옛 이름을 한산·북한산·북한산성·북한성·한양 등으로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북한산은 처음에는 산 이름이 아니라 서울의 옛 이름인 한산의 북쪽 지역을 가리키는 지명이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한성부에는 “양주 지경에 있다. 화산(華山)이라고도 하며, 신라 때에는 부아악(負兒岳)이라고 하였다. 평강현(平康縣)의 분수령(分水嶺)에서 잇닿은 봉우리와 겹겹한 산봉우리가 높고 낮음이 있다. 또 삼각산이 되니, 실은 경성(京城)의 진산(鎭山)이다. 고구려 동명왕의 아들 비류, 온조가 남쪽으로 나와서, 한산에 이르러 부아악에 올라가 살 만한 땅을 찾았으니, 바로 이 산이다.”라고 하여 여러 다른 이름들이 보인다. 부아악은 어머니가 어린애를 업고 있는 형상을 한자명으로 표기한 것으로 해석된다. 부아가 불의 표기이므로 부아 → 불 → 화(火) → 화(華)로 바뀌어 화산이 되었다는 해석도 있다. 그러나 화산·화악은 세 봉우리가 연꽃이 핀 것과 비슷하다 하여 연화산(蓮華山)의 준말로 쓴 것으로 볼 수도 있다.『고려사』의 삼각산 승가굴의 기록이나,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과『북한지』에 따르면 삼각산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일반화된 이름이다. 삼각산은 인수봉·백운봉·만경봉 세 봉우리가 삼각을 이루어 나란히 있는 모습 때문에 유래되었는데, 근래에까지 삼각산이란 이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조선 후기 북한산성이 축성된 내용을 기록한『북한지』가 출간된 이후 북한산이란 이름이 자연스럽게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세 봉우리 중 가장 높은 백운봉과 동쪽 인수봉(811m)은 온통 바위로 이루어졌다. 동남쪽에 솟은 만경대(801m)는 일명 국망봉(國望峰)으로, 이곳에 올라서면 만경이 한눈에 들어오는 바위라는 뜻으로 붙은 이름이다. 만경대 서남쪽에는 임진왜란 때 왜적들이 노적더미로 의심하였다는 노적봉(718m)과 진흥왕순수비가 있어 이름 붙여진 비봉(527m)이 있다.

 

북한산 산행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산행 일시 : 2024년 11월 17일 일요일, 10:56 - 16:18

 

2. 산행 장소 : 북한산 의상봉, 증취봉, 나한봉, 삼천사 등

 

3. 소재지 : 경기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서울 강북구 수유동, 은평구 진관동

 

4. 산행 코스 : 북한산성입구 버스정류장 →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 의상봉입구 → 의상봉 → 가사당암문 → 국녕사 → 용출봉 → 용혈봉 → 증취봉 →  부암동암문 → 나월봉 → 나한봉 → 청수동암문 →  삼천사 → 삼천탐방지원센터 → 하나고 버스정류장

 

5. 산행 거리 및 소요시간 : 9.37km(5시간 22분)

 

북한산성입구 버스정류장(10:56) → 2.09km → 의상봉(12:21)  → 1.49km → 증취봉(13:40) → 1.5km → 청수동암문(14:42) → 2.73km → 삼천사(15:55)  → 1.56km → 하나고 버스정류장(16:18)  

 

북한산 산행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북한산 의상능선 지도

 

 

2024-11-17-북한산성입구-의상봉-증취봉-나한봉-삼천사-하나고입구.gpx
0.09MB

 

북한산 산행기 및 사진

 

북한산성입구 버스정류장

▲ 북한산성입구(12233) 버스정류장(서울 은평구 진광동)에서 북한산 의상봉, 나한봉 산행을 시작합니다.  

 

북한산성입구 교차로

▲ 북한산성입구 교차로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합니다.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북한산 둘레길 (불광동), 북한산 둘레길(효자동), 백운대 4.2km )

 

의상봉입구

▲ 의상봉 입구(↓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0.3km, 백운대 4.0km ↑, 의상봉 1.2km)에서 오른쪽 의상봉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토끼바위 암릉길

 

토끼바위

 

토끼바위

▲ 토끼바위

 

성량지

▲ 성랑지인데요. 성랑지는 성을 지키는 초소가 있었던 곳으로 북한산에는 총 143개의 성랑이 있었다고 합니다. 

 

나무 계단

▲ 오른쪽으로 나무계단이 있습니다. 

 

북한 56-02

▲ 북한 56-02(해발 473m)

 

큰 바위

▲ 가야할 용혈봉과 용출봉

 

큰 바위 2

▲ 용출봉 오른쪽으로 멀리 보이는 능선은 비봉능선입니다.

 

의상봉

▲ 의상봉(↓ 산성탐방지원센터 1.5km·백화사 1.7km, 대남문 3.0km) 정상입니다. 

 

의상봉 정상목

북한산 '12 PEAK CHALLENGE' 인증위치인 의상봉(502m) 표지목입니다. 의상봉 정상에는 벤치, 구급함과 의상봉, 성랑지 표지목, 이정목 등이 있습니다. 

 

용출봉 조망

 

북한 56-03

▲ 북한 56-03(해발 447m)

 

가사당암문

블랙야크 북한산 '13 성문 종주' 인증지인 가사당암문입니다. 가사당암문(← 백화사 2.0km, ↓ 대남문 2.7km, 산성탐방지원센터 1.8km ↑, 산성탐방지원센터 2.7km)에서 오른쪽 국녕사를 다녀옵니다. 위 사진은 북한산성 16문 스탬프 투어 때 다녀온 사진인데요. 가사당암문은 인증만 하고 직접 사진을 찍지는 못해서 추억의 옛 사진을 올립니다. 

 

북한산의 의상봉과 용출봉 사이의 고갯마루에 위치해 있다. 1711년 북한산성 성곽을 축조하면서 만든 8개의 암문 중 하나로, 현재 백화사가 위치한 의상봉길에서 북한산성으로 오르는 길목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했다. 암문은 비상시에 병기나 식량을 반입하는 통로이자 때로는 구원병의 출입로로 활용된 일종의 비상출입구이다. 산성의 방어력을 높이 위해 적이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고갯마루나 능선에 설치했다. 가사당암문은 여느 암문과 마찬가지로 성문 상부에 문루는 마련하지 않았다. 성문 양쪽은 장대석으로 쌓아올리고, 그 위 천장 부분은 장대석 여러 매를 걸쳐 만들었다. 이런 양식의 성문을 아치 모양의 홍예식과 구분하여 평거식이라 부른다. 원래 문짝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지고, 문짝을 달았던 원형의 지도릿돌과 일반문의 빗장에 해당되는 장군목을 걸었던 방형 구멍이 남아 있다. 가상당문 아래에는 국령사가 자리잡고 있다. 국녕사는 북한산성의 축조·수비·관리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던 승병이 주둔한 승영사찰이었는데, 가사당암문의 수축과 방어를 담당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런 까닭에 가사당암문은 국녕문으로도 불린다.

 

국녕사

블랙야크 북한산 '11 TEMPLE TOUR' 인증지인 국녕사 국녕대불입니다.

 

갈림길

▲ 국녕사 국녕불을 인증하고 갈림길에서 용출봉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오른쪽 계단은 가사당암문에서 내려온 길입니다. 

 

용출봉

▲ 용출봉(571m, ↓ 의상봉 0.7km·산성탐방지원센터 2.2km, 대남문 2.3km)

 

증취봉 나한봉 조망

▲ 용혈봉, 증취봉, 나월봉, 문수봉, 나한봉

 

할미바위

▲ 할미바위

 

용혈봉

▲ 용혈봉(龍穴峰, Yonghyeolbong, 581m)

 

의상능선 조망

 

산불감시초소

▲ 산불감시초소(↓ 의상봉 1.0km·산성탐방지원센터 2.5km, 대남문 2.0km ↑)

 

증취봉

 블랙야크 북한산 '12 PEAK CHALLENGE' 인증지인 증취봉(甑炊峰, Jeungchuibong, 593m)입니다.

 

부암동암문

▲ 부암동암문(← 부왕사지 0.5km, ↓ 의상봉 1.5km, 대남문 1.5km, 삼천탐방지원센터 2.8km →)에서 대남문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부암동암문

 블랙야크 북한산 '13 성문 종주' 인증지인 부암동암문입니다. 

 

북한산의 나월봉과 증취봉 사이의 고갯마루에 위치해 있다. 1711년 북한산성 성곽을 축조하면서 설치한 8개의 암문 중 하나로, 성밖의 삼천사 쪽에서 성 안쪽의 중흥사에 이르는 길목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했다. 암문은 비상시에 병기나 식량을 반입하는 통로이자, 때로는 구원병의 출입로로 활용된 일종의 비상출입구이다. 산성의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적이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고갯마루나 능선에 설치했다. 부왕동암문은 여느 암문과 마찬가지로 성문 상부에 문루를 마련하지 않았다. 출입구의 모양은 암문의 일반적인 형태인 사각 형태가 아니라 외관상 무지개 모양의 홍예형태를 띠고 있다. 원래 문짝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지고, 문짝을 달았던 원형의 지도릿돌과 일반문의 빗장에 해당되는 장군목을 걸었던 방형 구멍이 남아있다. 부왕동암문 아래에는 원각사가 자리잡고 있었다. 이 원각사는 북한산성의 축조와 수비, 관리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던 승병이 주둔하였던 승영사찰이었는데, 부암동암문의 실질적인 방어와 수축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까닭에 부왕동암문은 원각문(圓覺門)으로도 불린다.

 

북한 56-06

▲ 북한 56-06(해발 518m, 부암동암문 안전쉼터)

 

이정표

 

이정표

▲ 이정표(↓ 가사당암문 1.9km·의상봉 2.2km, 대남문 0.8km)  

 

북한 56-07

▲ 북한 56-07에서 바라본 나한봉 

 

바위

 

나한봉 치성 안내판

▲ 나한봉 정상의 나한봉 치성(羅漢峰 雉城) 안내판인데요. 중앙의 뾰족한 봉우리가 문수봉 정상입니다. 

치성은 성곽 일부를 네모나게 돌출시켜 밖으로 내어 쌓은 구조물로, 적군의 접근을 초기에 관측하고, 전투할 때 접근하는 적을 정면이나 측면에서 격퇴하기 위해 설치한 방어시설물이다. '치성'의 치는 꿩이라는 뜻인데, 성곽 구조물의 생김새가 꿩의 머리처럼 돌출되었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라고도 하며, 성곽의 역할이 몸을 숨기고 주변을 살피는 꿩의 습성과 비슷하다고 해서 지은 이름이라고도 한다. 해발 688m에 조성된 나한봉 치성은 성곽의 남서쪽을 관측하기 좋은 곳에 자리하고 있다. 한양을 비롯한 한강 유역을 한눈에 관측할 수 있으며, 서쪽의 한강 하구와 멀리 강화도까지 조망할 수 있다. 나한봉 치성의 구조는 3~4단의 성벽이 있고, 삼면이 모두 깍아지른 자연 절벽으로 이어진다. 북서쪽은 30cm 내외로 흙을 사용해 바닥을 평편하게 했으며, 외성벽 아래쪽은 계단식으로 만들어 성벽을 보강했다. 치성의 길이는 10m, 너비 4.4m이며, 남아 있는 성벽의 높이는1m 내외다. 내부에서는 건물지로 추정되는 초석 1기와 초석을 받친 적심 유구 2기가 발견되었는데, 130cm 내외로 간격이 일정하다. 지붕은 만든 재료로 보이는 기와도 발견되었다. 

 

나한봉 표지목

 블랙야크 북한산 '12 PEAK CHALLENGE' 인증지인 나한봉(해발 681m)입니다. 

 

이정표

▲ 이정표(← 산성탐방지원센터 5.1km·행궁지 입구 1.5km, ↓ 의상봉 2.6km, 대남문 0.4km ↑)

 

청수동암문

 블랙야크 북한산 '13 성문 종주' 인증지인 청수동암문입니다. 청수동암문(↓ 의상봉 2.7km, 대남문 0.3km ↑, 비봉 2.2km·삼천탐방지원센터 4.2km)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합니다. 

암문은 성곽에서 깊숙하고 후미진 곳에 적이 알지 못하게 만든 비상 출입구로, 북한산성에는 청수동 암문을 비롯하여 서암문·동암문·백운동 암문·용암 암문 부왕동 암문·가사당암문 등이 있다. 북한산성은 삼국시대부터 격전지로 조선시대에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외침을 당하여 한양도성을 수비방어하고자 숙종 371년(1711)에 석성으로 수축되었다. 승려 성능이 지은 「북한지」에는 북한산성의 축조과정이 기록되어 전하고 있다. 1990년부터는 훼손된 대남문·대성문·대동문·보국문·용암 암문·청수동 암문 및 성벽 등을 보수하고 동장대를 복원하였다.

 

이정표

▲ 갈림길(↓ 대남문 0.6km, 비봉 1.7km ↑, 삼천탐방지원센터 3.5km)

 

북한 58-04

▲ 북한 58-04

 

갈림길 이정표

▲ 갈림길(↓ 대남문 2.3km, 삼천탐방지원센터 1.9km, 부왕동암문 0.9km →)

 

갈림길 이정표

▲ 뒤돌아본 갈림길(↓ 삼천탐방지원센터 1.7km, 대남문 2.5km ↑, 비봉 2.1km ↗)

 

북한 58-02

▲ 북한 58-02(해발 232m)

 

삼천사

▲ 북한산 삼천사

 

삼천사 대웅보전

블랙야크 북한산 '11 TEMPLE TOUR' 인증지인 삼천사 대웅보전입니다.

 

북한 58-01

▲ 북한 58-01(← 사모바위 2.3km·비봉 2.8km, ↓ 삼천사 0.2km·부왕동암문 2.2km·대남문 3.6km, 삼천탐방지원센터 0.6km)

 

미타교

▲ 미타교(彌陀橋)

 

낙엽 쌓인 길

 

삼천탐방지원센터 이정표

▲ 삼천탐방지원센터 이정표(↓ 비봉 3.4km·대남문 4.2km, 진행방향)

 

삼천탐방지원센터

▲ 삼천탐방지원센터

 

삼천사입구

▲ 삼천사입구(← 북한산 둘레길(불광동)·진관사입구 0.5km, ↓ 화장실 0.3km, 북한산 둘레길(효자동)·여기소마을경로당 1.2km ↑)

 

팔각정자

▲ 팔각정자

 

은평한옥마을

▲ 걷고 있는 인도의 왼쪽 마을은 은평한옥마을입니다. 앞쪽의 연서로 횡단보도를 건너 버스정류장으로 이동합니다.

 

하나고 버스정류장

▲ 하나고.삼천사.진관사입구(12464) 버스정류장에서 북한산 의상봉, 나한봉 산행을 마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