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선사 정보 금선사는 고려와 조선이 왕조교체기 때 무학(無學)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다. 무학대사는 조선의 도읍을 정하고자 삼각산을 살피던 중, 지금의 금선사 터에 삼각산의 정기가 서려있고, 부처님이 상주하시며 중생들을 제도하는 형상과 같다고 하여 절을 짓고, 금선(金仙:금빛의 신선 즉, 부처)사라고 하였다. 조선시대에 목정굴이 관음기도성지로 알려졌다. 또한 금선사 농산스님이 정조의 왕세자인 순조로 환생하였다는 설화도 전해지는데, 이를 계기로 1791년 정조의 명으로 원찰이 되기도 하였다. 설화에 의하면 금선사의 농산스님은 조선후기 사찰에 가해지는 각종 국역에 의해 피폐해지는 불교를 구해낸 인물로 묘사되어 있어 사찰의 규모는 작아도 위상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금선사는 조선후기 사대부 ..
북한산 정보 북한산(北漢山 Bukhansan)은 서울시의 성북구·종로구·은평구·강북구와 경기도 고양시에 걸쳐 위치한 산이다(고도:836m). 본래 한산(漢山)이라 불렸는데 ‘큰 산’이라는 뜻의‘산’을 한자로 차음 하여 표기한 것이다. 한산이란 이름은『삼국사기』,『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등에 보이며, 서울 지방의 옛 이름을 한산·북한산·북한산성·북한성·한양 등으로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북한산은 처음에는 산 이름이 아니라 서울의 옛 이름인 한산의 북쪽 지역을 가리키는 지명이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한성부에는 “양주 지경에 있다. 화산(華山)이라고도 하며, 신라 때에는 부아악(負兒岳)이라고 하였다. 평강현(平康縣)의 분수령(分水嶺)에서 잇닿은 봉우리와 겹겹한 산봉우리가 높고 낮음이 있다. 또 삼..
지리산 정보 경남 산청군 시천면과 함양군 마천면 일대에 있는 산이다(고도:1,915m). 지리산은 백두산에서 비롯하여 낙남정맥으로 갈라지는 백두대간의 결절지이다. 지리산은 3개 도, 5개 시·군, 15개 면에 걸쳐 있고 그중 천왕봉은 산청군의 영역에 속해 있다. 지리산은 크게 낙동강수계 · 금강수계 · 섬진강수계로 삼분되며, 산청군 영역은 낙동강 수계로 하천이 유입된다. 군의 시천면 중산리에서 천왕봉에 이르는 길은 지리산의 정상에 오르는 최단거리로서 예부터 주등산로로 이용되었다.『신 증동국여지승람』(산음)에 지리산은 현 서쪽 30리 지점에 있다. 사찰로는 지곡사(智谷寺)가 있으며 여기에는 고려 예부상서 손몽주(孫夢周)가 지은 승려 몽월 및 진관의 두 비가 있다.”라고 기록되었다. 『해동지도』(산음)에 ..
향일암 정보 향일암은 남해의 수평선에서 떠오르는 일출이 아름다운 곳으로 강화 보문사, 양양 홍련암, 남해 보리암과 함께 우리나라 4대 관음기도처 중의 한 곳입니다. 향일암이 위치한 금오산은 거북 한 마리가 부처님 경전(輕典)을 등에 지고 바다로 나아가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향일암을 중심으로 "남해 보리암, 통영 욕지도, 남해 세존도가 둘러싸고 있는 남해 바다 중간지점에 용궁이 있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 향일암 여행 일자 및 여행코스 1. 여행 일자 : 2025년 5월 1일 일요일 2. 산행 및 여행 장소 : 봉황산, 금오산 + 향일암 3. 소재지 : 전남 여수시 돌산읍 향일암로 60(향일암) 4. 사찰 관람 코스 : 책육당(요사채) → 삼성각 → 종무소(기도접수처), 불교용품점 →..
봉황산, 금오산 정보 돌산도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봉황산은 해발 460m로 돌산읍 율림리, 서덕리, 죽포리에 걸쳐 있으며 예로부터 봉황이 산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상산으로도 불린다. 정상을 중심으로 등산로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특히 주변의 아름다운 바다를 조망하며 산행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최적의 등산코스로 봉황산에서 남동으로 흘러가는 산릉을 따라 섬 최남단 끝머리에 위치한 아름다운 기암 덩어리인 금오산(향일암)과 연결하여 일출과 일몰을 볼 수 있는 산이다. 금오산(金鰲山, Geumosan)은 여수시의 돌산읍 율림리와 금성리 일대에 위치한 산이다(고도:323m). 돌산도 남동쪽 해안에 자리잡고 있으며 북서쪽을 제외하고 급경사의 암석 해안과 이어진다. 우리나라 4대 관음 기도처 중의 하나인 ..
강화 고려산 청련사 정보 청련사(靑蓮寺)는 고구려 장수왕4년(416)에 절터를 찾던 천축조사가 고려산 정상에 올라 오색 연꽃을 날렸는데 청색 연꽃이 떨어진 곳에 지은 절이 청련사이다. 기록에 의하면 조선 순조 21년(1821)에 포겸 스님이 중수하였으나 낡고 퇴락하여 1979년 큰 법당을 새로 지었다. 청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13세기 고려 불상의 조형적, 양식적 특성을 띠고 있어 몽골의 침략을 피해 개경에서 강화도로 천도한 1232년에서 1270년 사이에 청련사 주불로 모셔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불상은 고려 불교 미술이 추구했던 우아하고 세련된 아름다움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완성도 높은 불상으로 2012년 보물 제1787호로 지정되었다. 강화 고려산 청련사 여행 일자 및 여행코스 1. 여행 일..
완산칠봉꽃동산 정보 전주한옥마을에서 도보로 5분이면 갈 수 있는 거리에 마치 그림 같은 풍경이 펼쳐진 완산꽃동산이 있다. 이미 저명해 많은 관광객들로 붐비는 이곳은 벚꽃과 겹벚꽃도 아름답지만 머리 위를 훨씬 웃도는 커다란 철쭉나무가 군락을 이루는 장관으로 감탄을 자아낸다. 보통 허리춤까지 오는 철쭉에 익숙했던 사람들은 머리 위로 붉은 꽃그늘을 드리우는 남다른 철쭉 군락의 규모에 놀라게 된다. 철쭉이 만개한 풍경이 마치 이른 가을 단풍이 찾아온 듯 완산꽃동산을 붉은빛으로 물들이고 있다. 완산꽃동산에서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분홍빛 장관을 이루는 겹벚꽃 터널과 머리 위로 꽃그늘을 드리우는 철쭉을 배경으로 예쁜 추억을 남겨보자. 완산칠봉꽃동산 여행 일자 및 소재지 1. 여행 일자 : 2025년 4월 13..
강화 고려산 백련사 정보 백련사(白蓮寺)는 고구려 장수왕4년 병진년(416)에 고려산을 답사하던 천축조사가 이 산 상봉 오는지(다섯 개의 연못)에 오색 연꽃이 찬란히 피어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 오색연꽃을 채취하여 공중에 날려 그 연꽃들이 떨어진 곳마다 가람을 세웠는데 바로 이곳이 그중 백련이 낙하한 곳이다. 조선 순조6년 병인년(1806) 3월에 서산대사 제6세손 천봉후인 의해당 처활대사의 사리비와 부도탑이 건립되었고, 조선 고종 광무9년(1905) 을미년 봄에 인암화상이 화주 박보월로 본 가람을 중건케 하고 1967년 정미년 봄에 비구니 한성탄이 극락전과 삼성각을 중수하였다. 1983년 비구니 한성탄이 도로 불사와 1986년에 범종을 조성하였으며, 철불 아미타불 좌상이 보물994호로 1989년에 ..
전주한옥마을 정보 전주 풍남동 일대에 700여 채의 한옥이 군락을 이루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전통 한옥촌이며, 전국 유일의 도심 한옥군입니다. 1910년 조성되기 시작한 우리나라 근대 주거문화 발달과정의 중요한 공간으로, 경기전, 오목대, 향교 등 중요 문화재와 20여 개의 문화시설이 산재되어 있으며, 한옥, 한식, 한지, 한소리, 한복, 한방 등 韓스타일이 집약된 대한민국 대표 여행지입니다. 전주한옥마을을 여행 일자 및 소재지 1. 여행 일자 : 2025년 4월 13일 일요일 2. 여행 장소 : 대아수목원 +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 + 전주한옥마을 + 완산칠봉꽃동산 3. 소재지 : 대아수목원(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동상면 대아수목로 94-34) + 전주수목원(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번영로 ..
강화 고려산 적석사 정보 적석사(積石寺)는 와 등에 고구려 장수왕 4년(416년)에 천축조사가 고려산에서 오색 연꽃을 날려 그 꽃이 떨어진 곳마다 절을 창건하였는데, 적석사는 그중 적(赤) 색 연꽃이 떨어진 곳으로 절을 지어 적련사(赤蓮寺)라 하였으며, 후에 적석사로 바뀌었다. 에 의하면 "사찰은 고려산 서쪽 낙조봉 아래 있으니 적련사라 한다. 사찰에 있는 우물을 맑고 깨끗하며 차고 달다. 나라에 재난이 다가오면 물이 마르거나 탁해져 마실 수 없다. "또 서쪽 낙조봉에 오르면 일몰의 경관이 빼어나 적석사 낙조가 강도팔경의 하나로 선입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예로부터 신비한 우물과 더불어 명승고적으로 유명한 곳이다. 1998년 8월의 수해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복원에 힘써 2005년에는 ..
전주수목원 정보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은 고속도로를 건설하면서 훼손된 자연환경 복구를 위해 수목을 생산, 공급하고 다양한 식물종을 모아 자연학습장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식물의 보존, 증식, 보급, 자생식물의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이용 고객과 지역주민들에게 수목원 문화 체험의 장으로 널리 이용되고자 합니다. 전주수목원 여행 일자 및 소재지 1. 여행 일자 : 2025년 4월 13일 일요일 2. 여행 장소 : 대아수목원 +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 + 전주한옥마을 + 완산칠봉꽃동산 3. 소재지 : 대아수목원(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동상면 대아수목로 94-34) + 전주수목원(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번영로 462-45) + 전주한옥마을(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99) + 완산칠..
고려산 정보 고려산(高麗山, Goryeosan)은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강화읍·송해면·하점면·내가면이 경계하는 지점에 위치한 산이다(고도:436m). 강화 6대 산의 하나로 전한다. 강화도에서 마니산(469m)·혈구산(466m)·진강산(441m) 다음으로 높은 산이다. 1696년에 편찬된『강도지』에 “홍릉(洪陵)과 국정(國淨), 적석(積石), 백련(白蓮) 등의 세 절이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강화부 서쪽 15리에 있으며 강화부의 진산(鎭山)이다.”라고 되어 있다. 『강화부지』에도 강화부의 진산으로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서』와『조선지지자료』에서 지명이 확인된다. 『대동여지도』에는 고려산(高呂山)으로 한자 표기가 되어 있고 동쪽 산록 끝에 강화읍성이 위치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