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순창 추월산 정보 전남 담양군 용면과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경계에 있는 산이다(고도:731m). 호남정맥의 내장산에서 백암산을 거쳐 남동 쪽으로 뻗어온 능선이 밀재를 지나 북동쪽 용추봉으로 향하면서 이어진 줄기에 있다. 자연 경관이 뛰어나 1972년 전라남도기념물 제4호로 지정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진산은 추월이며, 부의 북쪽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추월산은 부 동북쪽 20리에 있는 진산이다. 석벽(石壁)이 깎아 세운 듯 사방으로 둘러 마치 성과 같으니 둘레가 9,018자요, 서북방으로만 보행자가 통행할 수 있다. 그 가운데에 시내가 둘러 흐르고, 샘이 13곳이 있다.”고 기록되었다. 추월(秋月)은 가을산으로‘갓(邊)’을 의미한다. 담양 고을의 가장자리에 우..
연화도 보덕암 정보 보덕암(菩德庵)은 연화도의 대표적인 사찰인 연화사와 더불어 관음성지로 유명한 사찰인데요. 가파른 절벽 경사면에 지어져서 바다 쪽에서 보면 5층이지만 섬 안에서 보면 맨 위층의 법당이 단층 건물로 보입니다. 보덕암 주위의 5층 석탑과 해수관음상으로 내려가는 동백꽃 터널이 아름다운 사찰입니다. 연화도 보덕암 여행 일자 및 여행코스 1. 여행 일자 : 2025년 2월 23일 일요일 2. 산행 및 여행 장소 : 연화도 + 보덕암 + 연화사 + 반하도 + 우도 + 욕지도 3. 소재지 : 경남 통영시 욕지면 십리골길 315(욕지면 연화리 44) 4. 사찰 관람 코스 : 5층 석탑 → 보덕암 입구 → 보덕암 → 해수관음상 → 보덕암 입구 연화도 보덕암 다음지도 및 대중교통편 1. 연화도 ..
담양호 용마루길 정보 담양호 용마루길은 담양호의 수려한 전경과 추월산, 산성산, 과녁바위산 등 주변 경관을 함께 느낄 수 있는 수변공간의 산책코스인 담양의 관광명소인데요. 용마루길은 현재 3개의 코스가 개발되어 있고, 1코스 산책로는 총 3.9km (나무데크 2.2km, 흙 산책길 1.7km)로 조성되어 있으며 도보(왕복)로 약 2시간 정도 소요된다 합니다. 주요 볼거리는 목교, 전망대, 연리지, 옛마을터 등이 있습니다. 담양호 용마루길 여행 일자 및 여행코스 1. 여행 일자 : 2025년 2월 15일 토요일 2. 여행 장소 : 추월산 + 보리암 + 용마루길 목교 3. 소재지 : 전남 담양군 용면 월계리 산 90-9 담양호 용마루길 안내지도 및 대중교통편 1. 담양호 용마루길 안내지도 2. 대중..
추월산 보리암 정보 보리암(菩提庵, Boriam)은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창건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정유재란으로 소실된 후 40년(1607) 승려 신찬(信贊)이 고쳐지었다. 이후 효종 1년(1650) 다시 스님들이 힘을 모아 재건하였다고 한다. 현재 보리암은 백양사에 딸린 암자로서 1983년 주지 성묵(聖墨) 스님에 의해 지금 법당을 복원하였다. 법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한편 이곳 보리암은 임진왜란 때 김덕령 장군의 부인 흥양 이씨가 순절한 곳으로도 유명하다. 임진왜란 때 흥양 이씨 부인은 왜적에게 쫓기자 이곳 절벽에서 몸을 던져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추월산 보리암 여행 일자 및 여행코스 1. 여행 일자 : 2025년 2월 15일 토요일 2. 산행 및 여행 장소 : 추월산 +..
영광 하낙월도, 상낙월도 정보 낙월도는"달이 지는 섬" 또는 섬 모양이 초승달을 닮았다는 데서 이름이 유래된 낙월도는 위쪽의 상낙월도와 아래쪽의 하낙월도가 연도교로 연결되어 마치 하나의 섬처럼 여겨진다. 상낙월도의 큰갓말골 해수욕장과 하낙월도의 장벌해수욕장이 잘 알려져 있으며, 북서쪽 해변은 자연이 만든 조각공원이라 할 정도로 신비로운 형상을 가진 해식동굴과 기암괴석으로 가득 차 있다. 한 때는 전국 젓새우 생산량의 70%를 차지했을 정도로 새우의 고장이라 일컬어져 왔으며, 그 밖에 꽃게, 민어, 대맛조개 등이 특산품으로 유명하다, 또한 수석의 3요소를 완벽히 갖추었다는 낙월도 묵석도 많은 수석인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영광 하낙월도, 상낙월도 트레킹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트레킹 일시 : 2..
무등산 증심사 정보 증심사는 9세기 중엽 철감선사가 세운 고찰입니다. 고려 선종 11년(1094년) 혜조국사가 중창하였고, 조선 세종 25년(1443) 김방이 삼창하였으나, 정유재란으로 불타버렸습니다. 이후 광해군 원년(1609) 석경, 수장, 도광 3대 선사가 4창하였다고 전해집니다. 근대에 이르러, 한국전쟁 중이었던 1951년 4월 22일, 오백전과 노전(사성전)을 제외한 대웅전, 명부전, 극락전, 회승당, 취백루 등 조선 중기의 건축물들이 모두 소실되었고, 귀중한 문화재들이 막대한 피해를 입었습니다. 그 후 1970년대부터 복원 불사가 진행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1984년 2월 17일, 증심사 일원은 그 문화재적 가치를 높이 인정받아 광주시 문화재자료 1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무등산 증심사 ..
광주 무등산 정보 무등산은 광주광역시(북구, 동구), 담양, 화순에 걸쳐 있는 산으로 호남정맥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최고봉인 천왕봉의 높이는 1,187m로 북구 금곡동 산 1-1번지이다. 1972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가 2013년 3월 4일 국립공원으로 승격하였다. 면적은 75.425㎢인데 북구가 35.6%인 26.865㎢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 봄철이면 만개하는 연분홍 철쭉과 진달래, 가을철의 단풍과 산등성이의 억새, 겨울산의 설화는 무등산의 운치를 더해준다. 서석대와 입석대 등 '무등산 주상절리대'는 수직 절리상의 암석이 석책을 두른 듯 치솟아 경관이 수려하고 학술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 제465호로 지정되었다. 천왕봉에 올라서면 전라남도 담양뿐 아니라 순창, 영암, 나주 등 호남 일원..
무등산 원효사 정보 무등산 원효사는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신라의 지증왕이나 법흥왕 때 세원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삼국통일을 전후한 문무왕 때 원효(元曉)가 이곳에 머물면서 암자를 개축한 뒤부터 원효사·원효당·원효암 등의 이름으로 불렸다고 한다. 고려 충숙왕 당시의 이름 있는 화엄종승이 창건한 뒤 원효를 사모하는 마음에서 원효암이라 했다고도 전하며, 문정왕후의 섭정 때 사세가 다시 일어난 뒤 선조 때의 승병장이었던 영규(靈圭)가 수도했던 곳이기도 하다. 이후 정유재란 때 전소된 뒤 증심사를 중창했던 석경(釋經)이 직접 기와를 구워 중창하였다. 무등산 원효사 여행 일자 및 여행코스 1. 여행 일자 : 2025년 2월 2일 일요일 2. 산행 및 여행 장소 : 원효사 + 무등산 인왕봉 + ..
영광 향화도항과 칠산타워 정보 향화도는 과거에는 갯벌로 연결된 섬이었으나 현재는 간척지로 육지와 연결되어 있으며 향화도와 무안군 해제면을 직접 연결하는 칠산대교가 2019년에 개통되었습니다. 특히 블랙야크 섬&산 100에 선정된 낙월도와 송이도는 향화도항에서 출항하는 배편을 이용하셔야 됩니다. 향화도항의 칠산타워는 전남에서 가장 높은 111m의 전망대인데요. 1층에는 여객대합실과 매점, 수산물판매센터, 2층에는 음식점과 회센터가 입점해 있으며 3층에 하이라이트인 전망대가 있습니다. 전망대에 오르면 광활하게 펼쳐진 칠산 앞바다와 주변 육지가 한눈에 들어와 절로 탄성을 지르게 합니다. 영광 향화도항 및 칠산타워 여행 일자 및 여행코스 1. 여행 일자 : 2025년 1월 26일 일요일, 2024년 6월 2..
영광 송이도 정보 영광 9경 중의 하나이자 낙월면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송이도는 소나무가 많고 섬의 모양이 귀를 닮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섬의 총면적은 3.68㎢, 해안선 길이는 11km이고, 염산 향화도항에서 매일 2회 운항하는 배를 타고 갈 수 있으며 소요시간은 약 1시간 30분입니다. 마을 앞에 위치한 조약돌(몽돌) 해수욕장은 오랜 세월 동안 파도가 만들어낸 부드럽고 동글동글한 모양의 조약돌이 약 1km 정도 이어져 색다른 풍경을 연출하고 있으며, 그 외에 맛등, 큰내끼의 코끼리 바위 등의 볼거리가 있습니다. 영광 송이도 트레킹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트레킹 일시 : 2025년 1월 26일 일요일, 09:26 - 15:16 2. 트레킹 장소 : 영광 송이도 3. 소재지 : 전남 ..
함양 기백산 정보 함양 기백산(1,331m)은 함양군과 거창군의 경계를 이루며 일명 지우산이라고 불린다. 주요 등산로에는 기암괴석, 폭포 등 작은 암반과 소(沼)가 많으며, 숯을 굽던 가마터의 흔적을 볼 수 있다. 정상에서 금원산으로 이어지는 능선 종주는 덕유산, 지리산, 가야산의 고봉을 휘둘러 보는 전망이 뛰어나며 주능선의 기묘한 바위들이 누룩을 포개 놓은 것과 같아 누룩덤이라 하며 부근의 억새밭이 장관이다. 함양 기백산 산행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산행 일시 : 2025년 1월 18일 토요일, 10:51 - 16:15 2. 산행 장소 : 기백산 + 용추사, 용추폭포 3. 소재지 : 경남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산 154-1 4. 산행 코스 : 용추사 일주문 주차장 → 기백산 등산로 입구 →..
함양 용추폭포 정보 함양 심진동 용추폭포(龍湫瀑布)는 명승 제85호로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용추계곡에 위치한다. 예부터 이 계곡은 많은 선비들이 찾아 글을 남긴 곳으로 심진동(尋眞洞)이라 하여 화림동, 원학동과 함께 안의삼동의 하나로 불러왔다. '진경(眞景)을 찾아 스스로 떠난다.'는 뜻이 있는 심진동의 대표 경관인 이 폭포는 주변의 울창한 산림 속에서 암반과 잘 어우러진 명승으로 높이는 30m이고, 용소(龍沼)의 직경은 25m이다. 이 폭포에는 108일 동안 금식 기도를 하면 용이 된다는 이무기에 관한 전설이 있다. 이 이무기는 온갖 고난을 참으며 기도를 하였는데, 108일을 하루 앞둔 날, 용이 된다는 기쁨에 날짜도 잊고 하늘로 치솟고 말았다. 그러자 이무기는 천등벼락을 맞고 인근의 위천면 서대기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