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행 일시 : 2016년 7월 9일 토요일 2. 여행지 :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본사 금산사(金山寺) 3. 소재지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39번지 4. 금산사 소개 조선 성종 23년(1492)에 작성된 "금산사 5층석탑 중창기"에 의하면, 금산사는 이미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의 가섭불 때에 있었던 옛 절터를 다시 중창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는 금산사의 터전이 오래 전부터 부처님과 인연이 깊었던 것임을 알수 있게 한다.흔히 통일신라 시기 진표율사에 의하여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엄밀히 따지면 그는 중창자이지 창건주는 아니다. 왜냐하면 "삼국유사"를 비롯한 기록에 의하면, 진표율사는 금산사의 순제법사에게 출가한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진표율사 이전에 이미 금산사가 창건되었음을 알..
1. 여행 일시 : 2016년 4월 23일 토요일 2. 여행지 : 대한불교 조계종 유가사(瑜伽寺), 수도암(修道庵) 3. 소재지 : 대구 달성군 유가면 유가사길 161 (지번) 달성군 유가면 양리 144 4. 유가사, 수도암 소개 ① 비슬산 유가사는 대구 달성군 유가면 양리 144번지에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이다. 절의 창건에 관하여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 765~780년, 신라 혜공왕 때 창건되었다는 설과 827년, 신라 흥덕왕 2년에 도성(道成) 국사가 창건하였다는 설이 있다. 889년, 진성여왕 3년 탐잠(垣岑)이 중창하였으며, 1047년, 고려 문종 1년 학변(學卞)이, 중수하였으며, 1452년, 조선 문종 2년 일행(逸行)이 중수하였다. 사찰이 번성하였을 무렵..
1. 여행 일시 : 2016년 4월 17일 일요일 2. 여행지 : 대한불교 천태종 창화사(彰華寺) 3. 소재지 : 경남 창녕군 창녕읍 송현리 10-1 4. 창화사 소개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송현리에 있는 천태종 사찰이다. 5. 여행 사진 ▲ 대한불교 천태종 창화사와 법화종 미륵암 가는 길은 우측입니다. ▲ 대불보전(大佛寶殿)
1. 여행 일시 : 2016년 4월 17일 일요일 2. 여행지 : 대한불교 조계종 관룡사(觀龍寺) 3. 소재지 : 경남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 관룡사길 171(창녕읍 옥천리 292) 4. 관룡사 소개 관룡사는 화왕산 군립공원 구룡산 병풍바위 아래 있는 고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의 본사인 통도사(通度寺)의 말사이다. 신라 8대사찰의 하나로, 394년(내물왕 39)에 창건되었다고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583년(진평왕 5) 증법(證法)이 중창하고 삼국통일 후 원효가 중국 승려 1,000명에게 을 설법하여 대도량(大道?)을 이루었다. 748년(경덕왕 7) 추담(秋潭)이 중건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 1401년(태종 1) 대웅전을 중건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대부분 당우(堂宇)가 소실되어, 1617년(광해군 9)..
1. 여행 일시 : 2016년 4월 13일 토요일 2. 여행지 : 대한불교조계종 강천사(剛泉寺) 3. 소재지 : 전북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996 4. 강천사 소개 강천사 군립공원 입구에서 1.8km 지점에 위치한 강천사는 신라 진성여왕 원년(887년)에 도선국사에 의해 창건되었다. 그 후 번창하여 고려 충숙왕 3년(1316년) 덕현선사가 사찰을 중창하고 5층 석탑을 세웠고 한때 12개 암자와 1천여명의 승려들이 머물렀다고 한다. 그런데 임진왜란 때 석탑만 남고 모두 소실되었다. 선조 37년 (1604년)에 소요대사가 재건했으나 다시 한국전쟁 때 소실되었다가 1959년 원상대로 복원하였다. 충신리와 남계리, 석장승, 순창객사, 순화리 3층 석탑 등의 문화재가 있으며 주변 관광지로 금성산성, 용소폭포, 강..
1. 여행 일시 : 2016년 4월 9일 토요일 2. 여행지 : 태고종 원각사 3. 소재지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서원곡1길 106-43(교방동) 4. 원각사 소개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의 무학산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의 사찰입니다. 5. 여행 사진 ▲ 범종각 ▲ 자광보전(慈光寶殿) ▲ 범종각(梵鐘閣) ▲ 종무소
1. 여행 일시 : 2016년 4월 2일 토요일 2. 여행지 : 조계종 미래사(彌來寺),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말사. 3. 소재지 :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미륵산길 192 (산양읍) 4. 미래사 소개 미륵산 남쪽 기슭에 자리잡은 미래사는 효봉(曉峰)스님의 상좌였던 구산(九山)스님이 석두(石頭), 효봉 두 큰스님의 안거(安居)를 위해 1954년에 세운 암자였다. 종각은 우리나라에서 보기드문 십자팔작누각(十字八作樓閣)이며, 삼층 석탑에는 티베트에서 모셔온 부처님 진신사리 3과가 봉안되어 있다. 미래사는 미륵산 남쪽의 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다. 이 절은 효봉 큰스님의 상수 제자(上首弟子)인 구산수련대선사(九山秀蓮大禪師)가 6·25 전란 직후인 1954년도에 창건하였으며 주로 효봉 큰스님의 문도들이 주지를..
1. 여행 일시 : 2016년 3월 6일 토요일 2. 여행지 : 조계종 능가사(楞伽寺) 3. 소재지 : 전남 고흥군 점암면 팔봉길 21(점암면) 4. 능가사 소개 전남 고흥군 점암면에 위치한 능가사는 웅장한 팔영산의 배경으로 위치하며 대웅전은 (국가 보물 제 1307호)로 문화적 가치가 뛰어나며 정문격인 사천왕상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24호)로 규모가 전국에서 가장 큰 예술적 가치가 있으며 범종(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69호) 또한 비천상과 8괘 문양이 특이하다. 능가사의 내력이 쓰여 있는 사적비(전라남도 유형 문화재70호)의 규모도 크다. 또한 대웅전의 석가모니 본존불도 16세기에 조성하여 보물적 가치가 있으며 응진당의 삼존불은 국가의 대소 길흉사가 있을때마다 부처님의 몸에서 법비가 흐른다고 한다...
1. 여행 일시 : 2016년 2월 27일 토요일 2. 여행지 : 태고종 상선암(上禪庵) 3. 소재지 :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가산리 산69-16 4. 상선암 소개 신라 시대 의상대사(義相大師)가 창건하여 옛 이름은 선암사(仙巖寺)이고 단양 도락산에 위치한 한국불교태고종의 말사이다. 5.. 여행 사진 ▲ 상선암주차장에서 출발하여 상선암으로 올라갑니다. ▲ 상선암 대웅전(大雄殿) ▲ 선암사 산신각(山神閣) ▲ 도락산 방향으로 조금 올라가면 ▼ 용화전 건물이 있습니다. ▲ 용화전 : 사찰에서 미륵불을 모신 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