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대사가 머물며 수도하던 무등산 원효사

무등산 원효사 정보

 

무등산 원효사

 

무등산 원효사는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신라의 지증왕이나 법흥왕 때 세원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삼국통일을 전후한 문무왕 때 원효(元曉)가 이곳에 머물면서 암자를 개축한 뒤부터 원효사·원효당·원효암 등의 이름으로 불렸다고 한다. 고려 충숙왕 당시의 이름 있는 화엄종승이 창건한 뒤 원효를 사모하는 마음에서 원효암이라 했다고도 전하며, 문정왕후의 섭정 때 사세가 다시 일어난 뒤 선조 때의 승병장이었던 영규(靈圭)가 수도했던 곳이기도 하다. 이후 정유재란 때 전소된 뒤 증심사를 중창했던 석경(釋經)이 직접 기와를 구워 중창하였다. 

 

무등산 원효사 여행 일자 및 여행코스

 

1. 여행 일자 : 2025년 2월 2일 일요일 

 

2. 산행 및 여행 장소 : 원효사 + 무등산 인왕봉 + 증심사 

 

3. 소재지 :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14-35

 

4. 여행 코스 : 원효사 주차장 → 원효사 일주문 →  원효루 →  대웅전 → 무등산천왕봉길 원효사입구

 

무등산 원효사 다음지도 및 대중교통편

 

1. 다음지도

 

 

 

 

 

 

2. 대중교통편 : 무등산 원효사의 교통편에 대한 정보는 다음지도 원효사 길찾기를 이용하세요. 

 

무등산 원효사 여행기 및 사진

 

원효사 주차장

▲ 오늘은 블랙야크 명산 100에 선정된 무등산 인왕봉 산행을 위해 원효사 주차장에 도착해 원효사를 잠시 둘러보고 늦재, 동화사터 갈림길, 중봉, 서석대, 인왕봉, 입석대를 거쳐 증심사 주차장 방향으로 내려왔는데요. 무등산 산행길에 잠시 들린 원효사를 소개합니다. 

 

무등로

▲ 원효사로 올라가는 포장된 무등로입니다. 

 

무등산 원효사 일주문

▲ 뒤돌아본 무등산 원효사 일주문입니다. 

 

나무 계단

▲ 원효사 방면으로 도로를 따라 쭉 올라오다 보면 원효사 담벼락 전에 왼쪽으로 나무 계단이 보이는데요. 이 나무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무등산천왕봉길 원효사입구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저는 원효사 경내를 둘러보고 원효사에서 바로 원효사입구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원효사 범종각

▲ 왼쪽으로 범종각이 보이고 멀리 원효루(회암루, 晦巖樓)가 보입니다. 

 

원효사 원효루

▲ 원효루(기도접수처) 안으로 들어갑니다.  

 

원효사 대웅전

▲ 원효사 대웅전입니다. 대웅전 왼쪽으로 성선각(삼성각)이 오른쪽으로 약사전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약사전 앞으로는 감로전이 있습니다. 

 

원효사 소원돌

▲ 원효사 소원돌 

 

광주의 진산 무등산은 불교에서 유래된 산입니다. 무등의 사전적 풀이는 '등급이나 차별이 없다'는 것으로 불교의 무등등(無等等), 무유등등(無有等等)에서 나왔습니다. 비할 바 없이 높고 등급을 매길 수 없다는 뜻으로 이는 가장 높아 견줄 이가 없는 분, 다시 말해 부처님을 뜻합니다. 그래서 무등은 부처님을 뜻하는 또 다른 별칭이기도 합니다. 부처님의 산 무등산의 정기가 서려 있는 소원돌로 소원성취하시고 부처님의 가피가 함께 하시길 바랍니다. 

 

원효사 약사전

▲ 약사여래불을 모신 약사전(藥師殿)

 

원효사 무등선원

▲ 무등선원

 

원효사 원효전 명부전

▲ 원효국사의 진영을 모신 원효전과 지장보살을 모신 명부전(冥府殿)

 

원효전 왼쪽 방향

▲ 원효사를 둘러보고 원효전 왼쪽 방향으로 쭉 나가시면 

 

무등산천왕봉길 원효사입구

▲ 무등산천왕봉길 원효사입구에 도착합니다. 오늘은 무등산 산행길에 잠시 들려본 원효사를 소개해드렸는데요. 원효사 주차장에서 늦재, 동화사터 갈림길, 중봉 방향으로 산행 경로를 잡으시는 분들은 원효사를 경유해서 가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