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증심사 정보 증심사는 9세기 중엽 철감선사가 세운 고찰입니다. 고려 선종 11년(1094년) 혜조국사가 중창하였고, 조선 세종 25년(1443) 김방이 삼창하였으나, 정유재란으로 불타버렸습니다. 이후 광해군 원년(1609) 석경, 수장, 도광 3대 선사가 4창하였다고 전해집니다. 근대에 이르러, 한국전쟁 중이었던 1951년 4월 22일, 오백전과 노전(사성전)을 제외한 대웅전, 명부전, 극락전, 회승당, 취백루 등 조선 중기의 건축물들이 모두 소실되었고, 귀중한 문화재들이 막대한 피해를 입었습니다. 그 후 1970년대부터 복원 불사가 진행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1984년 2월 17일, 증심사 일원은 그 문화재적 가치를 높이 인정받아 광주시 문화재자료 1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무등산 증심사 ..
1. 여행 일자 : 2022년 4월 2일 토요일 2. 여행지 :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華嚴寺)의 말사인 여수 흥국사 3. 소재지 : 전남 여수시 흥국사길 160(중흥동) 4. 여수 영취산 흥국사(興國寺) 소개 1984년 2월 29일 전라남도문화재자료 제38호로 지정되었다. 이 사찰은 고려시대인 1195년(명종 25)에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이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뒤 조선시대인 1560년(명종 15)에 법수(法修)대사가 중창하였으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동안 의승군의 주둔지와 승병 훈련소로서 호남 지방 의병·승병 항쟁의 중심 역할을 하면서 법당과 요사가 소실되었다. 1624년(인조 2)에 계특대사(戒特大師)가 건물을 중창하였으며, 1690년 법당을 증축하고 팔상전을 새로 지었다. 178..
1. 여행 일자 : 2022년 1월 1일 토요일 2. 여행지 :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인 등명낙가사 3. 소재지 : 강원 강릉시 강동면 괘방산길 16 4. 강릉 등명낙가사(燈明落伽寺) 소개 강원도 태백산맥의 동쪽 정동에 위치한 등명낙가사는 신라 선덕여왕때 자장율사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처음은 등명사(燈明寺)라고 하였으며 고구려와 신라의 접경지에 병란을 막고자 수중보궁을 모셨다고 한다. 고려 초기 수많은 스님들이 참선수도 하였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시인 이곡(1392년)이 등명사에서 해돋이 광경을 보았다고 기록하고 있고 고려시인 김극기(1180년대)는 "불법의 높은 길이 푸른 연봉에 둘러있고, 층대 위에 높은 사전(寺殿)은 겹겹이 공중에 솟아있다. 그윽한 숲은 그늘을 만..
1. 여행 일자 : 2021년 6월 20일 일요일 2. 여행지 : 대한불교조계종 오세암 3. 소재지 : 강원 인제군 북면 백담로 1325 4. 설악산 오세암(五歲庵) 소개 강원도 인제군의 북면 용대리 원명암 서남쪽 백담사에 딸린 암자터이다. 신라643년(선덕여왕 12)에 자장율사가 암자를 짓고 관음암(觀音庵)이라 하였는데 1643년(인조 21)에 설정(雪淨)이 헐어진 것을 다시 세워 오세암이라고 고치고 1888년(고종 25)에 백하가 다시 중수하였으나 1950년 한국전쟁 때 불에 탔다. 매월당 김시습(金時習)이 조선시대 단종이 물러나자 충절을 참지 못하고 미친 시인이 되어 강산을 두루 돌아다니다가 이곳에 이르러 오랫동안 머물렀으므로 그의 별호 오재신동(五才神童)을 따서 오세암이라 했다고도 전한다. 또한 ..
1. 여행 일자 : 2020년 3월 8일 일요일 2. 여행지 : 대한불교조계종 직할 전통사찰 원통사 3. 소재지 : 서울 도봉구 도봉로169길 520 4. 도봉산 원통사(圓通寺) 소개 원통사(圓通寺)는 조선 영조 때 영의정을 지냈던 조현명(趙顯命), 서명균(徐命均) 등이 나라의 일을 이야기하며 심신을 닦았던 곳으로 당대 유학자들 사이에 명소로 이름 높았다. 현재 경내에는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가 기도하였다는 석굴이 있으며, 약사전 아래 큰 바위에는 태조가 기도를 마치던 날 천상의 상공(相公)[정승]이 되어 옥항상제를 배알하는 꿈을 꾸었다 하여 새겼다는 ‘상공암’이라는 글씨가 있다. 또한 절 뒤쪽에 있는 우이암으로 불리는 바위는 관음보살이 부처를 향해 기도하는 형상을 하고 있어 원래는 관음봉으로..
1. 여행 일자 : 2018년 9월 22일 토요일 2. 여행지 : 선암사 + 조계산 장군봉, 천자암봉 산행 + 천자암 쌍향수 + 송광사 3. 소재지 선암사(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조계산(전라남도 순천시), 천자암 쌍향수(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이읍리 1), 송광사(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4. 송광사 소개 승보종찰 조계총림 송광사는 신라말 혜린선사께서 창건하신 이래 보조국사 지눌스님을 비롯해 16 국사스님을 내셨고 대대로 많은 선지식을 배출한 역사 깊은 전통 도량으로 법보종찰 해인사, 불보종찰 통도사와 더불어 한국의 삼보사찰 가운데 승보종찰로 꼽히고 있습니다. 송광사의 선원 율원 강원에는 지금도 국내외에서 많은 스님네가 모여 수행에 전념하고 있으며, 재가불자를 위한 여름수련..
1. 여행 일자 : 2018년 9월 22일 토요일 2. 여행지 : 선암사 + 조계산 장군봉, 천자암봉 산행 + 천자암 쌍향수 + 송광사 3. 소재지 선암사(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조계산(전라남도 순천시), 천자암 쌍향수(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이읍리 1), 송광사(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4. 선암사 소개 선암사는 조계산 동쪽에 자리잡은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에 있는 절로 한국불교 태고총림 천년고찰이다. 백제성왕 5년인(527) 현재의 비로암지에 초창주 아도화상이 선암사를 창건하였다. 현재 선암사는 태고종 유일의 총림인 태고총림으로써 강원과 선원에서 수많은 스님들이 수행정진하는 종합수도도량의 역할을 이어가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1. 여행 일자 : 2018년 7월 21일 토요일 2. 여행지 :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 3. 소재지 : 강원도 동해시 삼화로 584(삼화동) 4. 두타산 삼화사(三和寺) 소개 강원도 동해의 두타산 삼화사는 조계종 월정사의 말사로서 642년 지장율사가 흑련대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여 864년 범일 국사가 상공암이라고 개명하였는데, 고려태조 왕건이 이 사찰에서 후삼국의 통일을 간절히 발원하여 이십년만에 대업을 달성한 역사를 갖고 있다. 그 후 삼국에 얽힌 갈등과 증오의 감정을 소통과 화합의 장으로 이끌어내고자 상공암을 삼화사(三和寺)라고 이름을 바꾸게 되었다. 5. 가람 배치도 6. 삼화사 지도 두타산 삼화사의 교통편에 대한 정보는 두타산 삼화사 다음지도 길찾기와 삼화사 홈페이지..
1. 여행 일시 : 2018년 3월 31일 토요일 2. 여행지 :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인 갑사 3.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7-3 4. 갑사 소개 백제 때 창건되어 화엄종 10대 종찰 중에 하나가 된 갑사는 마곡사의 말사이다. 으뜸 또한 첫째란 뜻의 ‘갑사’는 18세기말 산 이름을 따서 계룡갑사로 부르고 있고, 경내에는 15동의 불전과 승당, 부속, 전각들이 있으며 주변 산골짝 여러 곳에 산내 암자를 두고 있다. 보물은 갑사 철당간 및 지주(보물 제 256호), 갑사부도(보물 제 257호), 갑사동종(보물 제 478호), 월인석보판목(보물 제 582호) 등이 있다. 갑사에서 수정봉까지 이어지는 명승지에 1곡에서 9곡까지 바위에 이름을 새겨놓는 아름다운 계곡 갑사구..
1. 여행 일시 : 2018년 3월 25일 일요일 2. 여행지 :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華嚴寺)의 말사 3. 소재지 : 전남 구례군 문척면 사성암길 303 4. 사성암 소개 사성암은 오산 정상 부근의 깍아지른 암벽을 활용하여 지은 사찰로서, 백제 성왕 22년(544년)에 연기조사가 건립하여 원래 오산암이라 불리다가 이곳에서 4명의 고승인 의상 · 원효 대사, 도선 · 진각국사가 수도하여 사성암이라고 하였다고 전한다. 오산 사성암 일원은 굽이치며 흐르는 섬진강과 구례읍 등 7개면과 지리산 연봉들을 한 곳에서 모두 볼 수 있는 우수한 경관 조망점이며, 오산 정상의 사찰 건물과 바위가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5. 여행 사진 ▲ 오산 산행 하산 길에 정상 부근에 있는 사성암을 들렸습니다...
1. 여행 일시 : 2017년 10월 15일 일요일 2. 여행지 : 대한불교조계종 수종사(水鐘寺) 3. 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1060번지 4. 수종사 소개 조선시대 문인인 정약용이 지은 「유수종사기」 에 수종사는 신라 때 지은 오래된 사찰이라 전하고있지만 근거 자료가 없어서 자세하지 않다. 전하는 설화에 따르면, 고려 태조 왕건이 산 위에서 솟아나는 이상한 구름 기운을 보고 가보았더니 우물 속에 동종이 있어서 그곳에 절을 짓고 수종사라고 이름 붙였다고도 하며, 1459년(세조 4)에 금강산을 다녀오던 길에 이수두에서 유숙하던 세조가 운길산에서 종소리를 듣고 깨어나 주변을 찾아보니 18나한상이 모셔져 있는 바위굴에서 물소리가 종소리처럼 울려 퍼지고 있어서 이름을 수종사라하고 중창하였다고..
1. 여행 일시 : 2017년 7월 30일 일요일 2. 여행지 : 대한불교조계종 대전사 3. 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200 4. 대전사 소개 경상북도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200번지에 세워진 사찰입니다.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고 하나 건물의 양식으로 보아 조선중기를 넘지 못한 건물입니다. 사찰 경내에는 보광전, 명부전, 산령각 등이 있고 부속암자로 백련암, 주왕암이 있는데 보광전은 목조와가에 맛배지붕으로 다포집이며 정면3각입니다. 일설에는 약 1000여년전 고려태조 왕건 2년에 보조국사가 주왕의 아들 대전도군 입산 당시 창건한 사찰이라고 하며 창건할 당시에는 매우 웅장한 사찰이었으나 중년에 화재로 소실되어 버리고 입구의 비석과 부도만이 남아 있습니다.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