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순창 추월산 정보
전남 담양군 용면과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경계에 있는 산이다(고도:731m). 호남정맥의 내장산에서 백암산을 거쳐 남동 쪽으로 뻗어온 능선이 밀재를 지나 북동쪽 용추봉으로 향하면서 이어진 줄기에 있다. 자연 경관이 뛰어나 1972년 전라남도기념물 제4호로 지정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진산은 추월이며, 부의 북쪽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추월산은 부 동북쪽 20리에 있는 진산이다. 석벽(石壁)이 깎아 세운 듯 사방으로 둘러 마치 성과 같으니 둘레가 9,018자요, 서북방으로만 보행자가 통행할 수 있다. 그 가운데에 시내가 둘러 흐르고, 샘이 13곳이 있다.”고 기록되었다. 추월(秋月)은 가을산으로‘갓(邊)’을 의미한다. 담양 고을의 가장자리에 우람하게 위치한 진산(鎭山)이다. 추월산 보리암은 고려 때 보조국사 지눌(知訥, 1158~1210)이 창건했다고 전하며, 사철 석간수와 무쇠솥이 유명하다. 임진왜란 때 김덕령(金德齡, 1567~1596)의 부인 흥양 이씨가 왜군에 쫓겨 투신, 순절한 터이기도 하다. 암벽에 1840년 담양부사 조철영이 새겨놓은 명문이 남아 있다.
담양·순창 추월산 산행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산행 일시 : 2025년 2월 15일 토요일, 10:53 - 16:48
2. 산행 장소 : 심적산 깃대봉 + 추월산
3. 소재지 : 전북 순창군 복흥면, 전남 담양군 용면
4. 산행 코스 : 가인연수관 → 심적산 깃대봉 → 견양동 정상 → 무능기재 → 복리암 정상 → 수리봉 → 무명봉 → 월계삼거리 → 삼거리 → 추월산 정상 → 삼거리 → 물통골 삼거리 → 보리암 정상 → 보리암 입구 → 보리암 → 보리암 입구 → 추월산 전망대 → 추월산 동굴 → 2등산로 갈림길 → 용마루길 목교 → 담양호국민관광단지 대형주차장
5. 산행 거리 및 소요시간 : 8.67km(5시간 55분)
가인연수관(10:53) → 1.11km → 심적산(12:06) → 0.36km → 무능기재(12:18) → 1km → 수리봉(13:01) → 1.46km → 월계삼거리(13:50) → 0.48km → 추월산(14:13) → 1.35km → 보리암 정상(14:48) → 2.24km → 용마루길 목교(16:41) → 0.67km → 담양호국민관광단지 대형주차장(16:48)
담양 추월산 산행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담양·순창 추월산 산행기 및 사진
▲ 대법원 가인연수관(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 가인로 442-141)에서 블랙야크 명산 100+에 선정된 추월산 산행을 시작합니다. 참고로 초대 대법원장인 가인(街人) 김병로 선생을 기려 그의 고향인 전북 순창군에 2010년 7월 2일에 대법원 가인연수관이 들어섰다고 하네요.
▲ 앞쪽 화장실 왼쪽으로 등산로가 있습니다.
▲ 가인연수관 등산로 입구
▲ 이정표에서 추월산 방향은 왼쪽인데요. 중간에 바위 구간이 얼어 있어서 우회를 했는데, 조금은 위험한 구간이었습니다.
▲ 밧줄 구간
▲ 뒤돌아본 추월산 산행 들머리인 가인연수관
▲ 심적산 능선에 도착해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 심적산 깃대봉 정상(711.3m)
▲ 견양동 정상(↓ 천치재, 추월산 정상 ↑)
▲ 무능기재(← 견양동 1.20km, ↓ 깃대봉 0.45km, 추월산 정상 3.10km ↑)
▲ 조망처
▲ 복리암 정상(← 복리암 마을, ↓ 견양동·천치재, 추월산 정상 ↑)
▲ 추월산 수리봉 정상(← 추월산, ↓ 사법연수원, 복흥면 ↑)
▲ 추월산 수리봉(723m) 이정표
▲ 뒤돌아본 추월산 수리봉과 수리바위
▲ 추월산 무명봉
▲ 월계삼거리(← 월계리 1.55km, ↓ 가인연수관, 추월산 정상 ↑)
▲ 오른쪽 봉우리가 추월산 정상입니다.
▲ 삼거리(← 보리암 정상 1.2km, ↓ 월계리 1.3km, 추월산 정상 0.1km →)에서 전망바위와 추월산 정상을 차례대로 다녀온 후 보리암 정상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 삼거리 왼쪽 방향에 있는 전망바위
▲ 전망바위에서 바라본 수리봉, 심적산 깃대봉, 무명봉, 여분산, 회문산
▲ 전망바위에서 바라본 용궐산, 과녁바위산, 강천산, 문덕봉, 광덕산, 산성산, 고리봉, 보리암 정상, 동악산
▲ 추월산 정상(↓ 추월산주차장 3.50km, 밀재방향 2.21km ↑)에서 블랙야크 명산 100 + 인증과 왼쪽의 전망바위로 잠시 내려갔다 돌아와서 삼거리 방향으로 되돌아 나갑니다.
▲ 추월산 정상 왼쪽의 전망 바위에서 바라본 삼인산, 병풍산, 병장산(보두산), 축령산(문수산), 방장산
▲ 추월산 정상 왼쪽의 전망 바위에서 바라본 방장산, 백암산, 삼성산, 내장산, 수리봉, 심적산 깃대봉, 무명봉
▲ 삼거리(← 월계리 1.3km, ↓ 추월산 정상 0.1km, ↖ 전망바위, 보리암 정상 1.2km ↑)에서 보리암 정상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 물통골 삼거리(↓ 추월상 정상 0.53km, 보리암 정상 0.69km ↑, 물통골 1.48km →)
▲ 산불감시초소
▲ 보리암 정상(← 1 등산로 1.2km ·보리암 0.3km, ↓ 추월산 정상 1.3km, 2 등산로 2.3km →)
▲ 보리암 정상의 정상석(해발 692m)
▲ 보리암 입구(↓ 보리암 정상 0.30km, 주차장1.10km ↑, 보리암 50m →)에서 보리암을 다녀온 후 주차장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 보리암
▲ 보리암 관음굴
▲ 보리암 입구로 돌아와서 주차장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 추월산 전망대
▲ 추월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보리암
▲ 추월산 동굴 이정표(↓ 보리암 0.4km, 주차장 0.8km ↑)
▲ 추월산 동굴
▲ 현위치는 2 등산로 갈림길인데요. 1 등산로와 2 등산로가 만나는 지점입니다. 제가 내려온 길은 1 등산로입니다.
▲ 이정표(↓ 추월산 정상 2.31km, 진행방향 →)
▲ 삼거리 이정표(↓ 추월산, 주차장 →)
▲ 담양호국민관광단지와 소형주차장
▲ 앞의 담양호 어탕 국수 집 사거리에서 식사를 하고 왼쪽으로 진행합니다.
▲ 담양호 어탕 국수 집에서 어탕 국수를 먹었는데 가격은 8,000원입니다.
▲ 담양호 용머리길 목교를 잠시 다녀옵니다.
▲ 담양호 용마루길 목교에서 바라본 추월산
▲ 숲 해설판
이곳은 담양댐 둑 높이기 사업 일환으로 조성된 공원으로 지역민과 관광객의 휴식 및 체험공간을 조성하였습니다. 휴식을 위해 조성된 느티나무숲은 쌍덕잎식물 쐐기풀목 느릎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규목(槻木)이라고도 하며 산기슭이나 골짜기 또는 마을 부근의 깊고 그늘진 땅에서 잘 자랍니다. 마을에는 대개 큰 정자나무가 있었는데 정자 나무로서 가장 뛰어난 기능을 발휘한 것이 느티나무였으며 여름엔 시원한 그늘과 가을엔 아름다운 단풍을 보여줍니다. 또한 인공폭포(높이 24m)를 조성하여 추월산의 아름다운 풍광과 더불어 쾌적한 공간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2014년 3월 조성
▲ 담양호 국민관광단지 대형주차장(전남 담양군 용면 월계리 182)에서 심적산과 추월산 산행을 마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