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성 16문 스탬프 투어 ① 북한산성입구 정류장 ~ 의상봉 ~ 용출봉 ~ 문수봉 ~ 대남문

    1. 산행 일시 : 2017년 3월 5일 토요일, 08:13 - 17:19  

     

    2. 산이름    : 북한산 백운대(836m), 북한산성

     

    3.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북구ㆍ성북구ㆍ종로구ㆍ은평구, 경기도 고양시ㆍ양주시

     

    4. 산행 코스 : 북한산성입구 버스정류장 → 대서문 → 중성문·중성 암문·중성 수문 → 가사당암문 → 의상봉 → 가사당암문 → 용출봉 → 용혈봉 → 증취봉 →  부암동암문  → 청수동암문 →  문수봉 → 대남문 →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백운봉암문  → 백운대 → 백운봉암문 → 북문 → 원효봉 → 서암문 → 수문 → 북한산성방문자센터 → 북한산성입구 버스정류장

     

    5. 산행 거리 및 소요시간 : 17.83km(9시간 6분) = 북한산 정상 백운대까지 12.37km(6시간 26분) + 하산 5.46km(2시간 40분)

     

    북한산성입구 버스정류장(08:13) → 1.50km →  대서문(08:35) → 1.63km → 중성문(09:03) → 1.53km → 의상봉(09:55) → 2.90km → 대남문(12:09)  → 0.46km → 대성문(12:21) → 1.36km → 대동문(12:54) → 2.99km → 백운대(14:39)  → 1.72km → 북문(15:45) → 2.68km → 수문(16:53) → 1.06km → 북한산성입구 버스정류장(17:19)

     

    6. 명산 인증 및 순위 : 블랙야크 명산 100(61좌 인증), 한국의 산하 인기명산 100(3위)

     

    7. 북한산 및 북한산성 소개

     

    1) 북한산

     

    서울의 진산 북한산은 조선조 초기에는 삼각산(三角山)으로 불렀다. 삼각산이란 이름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삼각산은 양주의 경계에 있다. 일명 화산(華山)이라 하고, 신라시대에는 부아악(負兒岳)이라고 불렀다.

    이 산은 경성(京城)의 진산으로 동명왕의 아들 온조가 한산(漢山)에 이르러 부아악에 올라가서 살 만한 곳을 살폈다'는 기록이 있으며, '백운봉 (白雲峰, 지금의 백운대), 인수봉 (仁壽峰), 만경봉 (萬景峰,지금의 만경대)등 세 봉우리가 있으므로 그렇게 이름한 것이다'라고 유래를 기록하고 있다. 북한산성에 대해서는 〈신증동국여지승람〉과 〈북한지〉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북한산성은 백제 온조왕이 터를 잡았고 그후 개루왕 때 성터를 쌓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조선시대에 임진왜란, 병자호란을 치른 뒤 숙종 37년(1711년)에 시작하여, 6개월 만인 그해 10월에 완공하였다 한다. 

    북한산성은 험한 산세를 이용하여 정상을 기점으로 서쪽 산자락부터 원효봉, 염초봉, 백운대, 만경대, 용암봉, 문수봉, 나한봉, 나월봉, 용출봉, 의상봉까지 연결하여 쌓은 산성으로 총 길이가 10km에 달한다. 당시 산성에는 14개의 성문을 냈는데, 산성의 정문 격인 대서문을 중심으로 북쪽으로 수문, 서암문(시구문), 북문, 백운대를 지나 위문, 용암문, 대동문, 보국문, 대성문, 대남문, 청수동암문, 대서문에서 북서쪽으로 이어지는 산성에는, 부황동암문, 가사동암문이 설치되었다.

    현재는 대부분 성문을 복원하였다. 북한산에 수많은 등산로 거미줄 같이 얽혀 있어 산행시 주의를 요하는 곳이다. 북한산의 산행 들머리는 대표적으로 여섯 군데를 꼽고 있다. 우이동 기점, 4.19탑 기점, 정릉 기점, 세검정 기점, 불광동 기점, 구파발 북한산성 기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북한산성

     

    북한산성은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과 서울시 강북구, 종로구, 은평구 경계의 북한산 정상 능선을 따라 위치하는 포곡식 석축산성이다. 백제 개루왕 5년(132)에 북한산성의 명칭으로 축조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후 고구려의 남진을 저지하고 수도를 방어하는 중요한 요새로서 북한산성의 명칭이 등장하나 삼국시대의 북한산성이 현재의 북한산성과 같은 곳인지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다. 고려시대 고종19년(1232) 몽고군의 2차 침입 시 이곳에서의 격전과 거란의 침입 시 태조의 재궁을 이곳으로 옮긴 일도 있었고 조선 숙종 대에는 대대적인 수축 및 증축이 있었다. 성벽은 내탁과 內外俠築으로 견고하게 쌓았으며, 봉우리와 봉우리를 연결함으로써 자연지형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기록에는 14개소의 성문이 있었고 이 중 5개소에 문루가 세워졌으며 3개소의 장대지가 있었다고 한다. 또한 26개소의 저수지와 99개소의 우물이 있었다고 하나 확인이 불가능하다.

     

     

     

     

    8. 북한산성 산행 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2017-03-05-서울-은평구-북한산성입구정류장-대서문-경기-고양시-의상봉-문수봉-대남문-대동문-백운대-북문-원효봉-북한산성입구정류장.gpx
    다운로드

     

    9. 산행 사진

     

    ▲ 서울 은평구 진관동의 북한산성입구 버스정류장에서 북한산성 16문 스탬프 투어를 시작합니다. 

     

    ▲ 원효봉

     

     

    ▲ 가야할 의상봉과 용출봉이 시야에 들어옵니다.

     

    ▲ 북한산성 제1주차장

     

    ▲ 왼쪽으로 보이는 북한산성 방문자센터(2층)

     

     

    ▲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 갈림길(↖ 백운대 4.0km, 산성탐방지원센터 0.1km↓, 백운대 4.2km↑) : 직진합니다.

     

    ▲ 북한산성분소

     

    ▲ 갈림길(← 백운대 4.0km, 의상봉 1.2km↑,  산성탐방지원센터 0.3km →) : 백운대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 대서문(大西門)

     

    북한산성의 정문으로, 성문 16곳 중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위치한다. 1712년 숙종이 북한산성에 행차했을 때, 이 대서문을 통해 성내로 들어갔다. 과거 성내에 마을이 있었을 당신엔 주민들이 대대로 이용했던 성문이기도 하다. 지금의 문루는 1958년에 복원한 것으로 북한산성 문루 중에서 가장 오래되었다. 문루의 형식은 우진각지붕으로 문루의 일반적인 지붕 형태를 따르고 있다. 관영 건물이므로 지붕의 용마루와 추녀마루를 강회로 마감하였다. 누각에 '북한산서어 대서문 중수기'가 걸려 있어 중수 내역을 전해 준다. 문루의 배수시설로 용머리 모양의 누혈을 성문 앞뒤로 두었다. 성 밖을 바라보는 용은 입을 벌려 누혈의 구실을 제대호 하게 하였으나, 성문 안쪽에 있는 용은 입을 다물고 있어 장식용으로 설치했음을 알 수 있다. 

    문루 정면에는 여장을 설치하였는데, 한 장의 화강암으로 만든 점이 특징적이다. 북한산성의 대문 6곳 모두에는 이런 독특한 형식의 여장이 올려져 있다. 

    이 대서문을 통과하여 중성문을 거쳐 대남문에 이르는 길은 북한산성이 주요 간선도로였는데, 이 대문 3곳을 맡아서 수비·관리하였던 군부대는 어영청 유영이었다.  

     

    ▲ 무량사

     

     

    ▲▼ 전망대

     

     

    ▲ 전망대에서 바라본 원효봉, 염초봉, 정상 백운대, 만경대, 노적봉

     

    ▲ 새마을교

     

    ▲ 선봉사

     

    ▲ 법용사

     

    ▲ 중성문(中城門)

     

    북한산의 노적봉과 증취봉 사이의 협곡에 쌓은 중성에 설치된 성문이다. 대서문에서 이곳에 이른 지역은 지형이 비교적 평탄해 적의 공격에 취약한 구역이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곳에 적의 공격을 이중으로 방어할 수 있는 차단성인 중성을 쌓았다. 중성 안쪽은 북한산성의 내성에 해당되는데, 이 내성에 행궁·중흥사·상창 등의 주요 시설이 집중되어 있었다. 중성문의 수비를 담당했던 군부대는 대서문과 대남문의 수비를 맡았던 어영청 유영이었다.

     

    현재의 중성문은 석축기단이 육축부, 그 위에 올려진 문루, 무지개 모양의 출입구인 홍예문을 갖춘 전형적인 대문의 모습을 하고 있다. 홍예 양쪽에 문루의 배수시설인 누혈이 하나씩 설치돼 있다. 바깥쪽 홍예 안쪽에는 문짝을 달았던 원형의 지도릿돌과 장군목을 걸쳤던 방형의 구멍이 남아있다. 규모는 대서문보다 조금 작은 편이다. 문루는 1998년 복원했는데, 1958년에 복원한 대서문의 문루보다 40년이 늦어 복원기술의 변화를 엿볼 수 있다. 중성문 옆의 암반에 폭 2.1m, 높이 1.8m 규모의 작은 암문이 숨겨져 있다. 이 암문은 원래 이름이 없었으나 성 안에서 생긴 시신이 중성문을 통과하지 못하고 이 문을 통해 나간다고 해 '시구문'이라 불렀다. 한편, 중성문 바로 옆을 흐르는 계곡에는 수문이 설치돼 있었으나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 중성암문

     

    북한산성의 내성에 해당하는 중성의 중성문과 나란히 있는 암문이며 성안 시신이 나갔다고 하여 시구문으로 불렸습니다.

     

     

     

    ▲▼ 중성 수문

     

    중성문 옆에 설치한 수문의 터로 북한산성에 설치한 2개 수문 중 한 곳이다. 수문은 성벽 하단에 문을 내어 성안의 물을 밖으로 흘려보내느 배수 시설로, 적의 침투에 대비한 철책 시설도 갖추어 놓았다. 이 수문터에는 지금도 축성 당시의 수문 흔적이 남아 있다 . 수문 성벽을 쌓을 지반을 확보하기 위해 큰 바위를 층층이 깎아 내어 계단처럼 조성해 놓았다.

     

    북한산성 성곽 공사는 1711년에 마무리 되었으며, 이듬해에 이를 기념하기 이해 숙종 임금이 북한산성에 행차했다. 이 행차에서 숙종은 '북한산성 북서쪽 지역이 평탄해 적에게 쉽게 함락될 소지가 있으니 다른 성을 더 쌓아 방비하자' 는 내용의 '중성 축성안'을 결정했다. 이에 따라 1714년에 북한산성의 내성에 해당하는 중성을 축조했으며, 이 중성의 계곡부에 설치한 시설물이 중성문과 수문이었다. 1745녀에 편찬한 「북한지」 에는 수문의 모습이 보이지 않아, 중성의 수문은 30년도 채 버티지 못하고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 중성문에서 다시 법용사로 돌아왔습니다.  법용사 왼쪽 통로로 들어갑니다.

     

     

    ▲▼ 국녕사

     

    1711년에 북한산성을 축성한 뒤, 성내의 군사 요충지에 사찰 13곳을 건립하여 산성의 수비와 성곽 관리를 맡겼다. 이런 사찰을 승영사찰이라 하는데, 이곳에 승군을 주둔시키고 무기를 보관하는 창고를 두어 병영의 역할을 겸하게 하였다. 국녕사는 북한산성의 축성과 함께 창건된 승영사찰의 하나로 당시엔 86칸 규모였다. 사찰의 위치로 미루어 의상봉과 용출봉 사이의 성벽과 그 중간에 위치한 가사당암문의 수비와 관리를 맡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국녕사는 갑오경장으로 의승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존속했지만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폐사되었다가 근래 들어 새롭게 조성됐다. 문화재로는 절로 올라가는 계곡 우측에 '한월당대선사' 라는 명문이 새겨진 조선 후기 양식의 사리탑이 있다. 

     

     

     

     

    ▲ 오른쪽의 의상봉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 가사당암문

     

    북한산의 의상봉과 용출봉 사이의 고갯마루에 위치해 있다. 1711년 북한산성 성곽을 축조하면서 만든 8개의 암문 중 하나로, 현재 백화사가 위치한 의상봉길에서 북한산성으로 오르는 길목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했다. 암문은 비상시에 병기나 식량을 반입하는 통로이자 때로는 구원병의 출입로로 활용된 일종의 비상출입구이다. 산성의 방어력을 높이 위해 적이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고갯마루나 능선에 설치했다.

     

    가사당암문은 여느 암문과 마찬가지로 성문 상부에 문루는 마련하지 않았다. 성문 양쪽은 장대석으로 쌓아올리고, 그 위 천장 부분은 장대석 여러 매를 걸쳐 만들었다. 이런 양식의 성문을 아치 모양의 홍예식과 구분하여 평거식이라 부른다. 원래 문짝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지고, 문짝을 달았던 원형의 지도릿돌과 일반문의 빗장에 해당되는 장군목을 걸었던 방형 구멍이 남아 있다. 

     

    가상당문 아래에는 국령사가 자리잡고 있다. 국녕사는 북한산성의 축조·수비·관리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던 승병이 주둔한 승영사찰이었는데, 가사당암문의 수축과 방어를 담당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런 까닭에 가상당암문은 국녕문으로도 불린다.

     

     

    ▲ 의상봉으로 가는 성곽길에서 내려다 본 국녕사

     

     

    ▲▼ 의상봉(502m)

     

     

     

    ▲ 의상봉에서 바라본 북한산 정상 백운대 방향입니다. 아쉽게도 뿌연 안개로 잘 보이지 않네요.

     

     

    ▲ 의상봉에서 바라본 용혈봉, 용출봉

     

    ▲ 의상봉에서 바라본 용출봉과 사모바위, 비봉, 관봉, 향로봉

     

    ▲ 의상봉(502m)에서 대남문 방향으로 갑니다.

     

    ▲ 가야할 용혈봉(좌)과 용출봉(우)

     

     

     

    ▲ 뒤돌아본 의상봉, 원효봉, 염초봉, 정상 백운대

     

     

     

    ▲▼ 용출봉(571m)

     

     

    ▲ 용출봉에서 바라본 용혈봉, 증취봉, 나월봉, 나한봉, 문수봉

     

    ▲ 용출봉에서 바라본 승가봉, 사모바위, 비봉, 관봉, 향로봉

     

    ▲ 용출봉에서 바라본 염초봉, 정상 백운대, 만경대, 노적봉, 용암봉

     

     

     

    ▲ 뒤돌아본 용출봉

     

     

    ▲▼ 용혈봉(581m)

     

    ▲ 용혈봉에서 바라본 용출봉과 의상봉

     

    ▲ 용혈봉에서 바라본 원효봉, 염초봉, 정상 백운대, 만경대, 노적봉, 용암봉

     

    ▲ 용혈봉에서 바라본 증취봉, 나월봉, 나한봉, 승가봉

     

    ▲ 용혈봉에서 바라본 승가봉, 사모바위, 비봉, 관봉, 향로봉

     

     

    ▲ 증취봉(593m)

     

    ▲ 증취봉에서 바라본 염초봉, 정상 백운대, 만경대, 노적봉, 용암봉

     

    ▲ 증취봉에서 바라본 나월봉, 나한봉

     

     

    ▲ 성랑지

     

    ▲ 여장

     

    ▲ 부왕동암문

     

    북한산의 나월봉과 증취봉 사이의 고갯마루에 위치해 있다. 1711년 북한산성 성곽을 축조하면서 설치한 8개의 암문 중 하나로, 성밖의 삼천사 쪽에서 성 안쪽의 중흥사에 이르는 길목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했다. 암문은 비상시에 병기나 식량을 반입하는 통로이자, 때로는 구원병의 출입로로 활용된 일종의 비상출입구이다. 산성의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적이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고갯마루나 능선에 설치했다.

     

    부왕동암문은 여느 암문과 마찬가지로 성문 상부에 문루를 마련하지 않았다. 출입구의 모양은 암문의 일반적인 형태인 사각 형태가 아니라 외관상 무지개 모양의 홍예형태를 띠고 있다. 원래 문짝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지고, 문짝을 달았던 원형의 지도릿돌과 일반문의 빗장에 해당되는 장군목을 걸었던 방형 구멍이 남아있다. 부왕동암문 아래에는 원각사가 자리잡고 있었다. 이 원각사는 북한산성의 축조와 수비, 관리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던 승병이 주둔하였던 승영사찰이었는데, 부암동암문의 실질적인 방어와 수축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까닭에 부왕동암문은 원각문(圓覺門)으로도 불린다.

     

     

    ▲ 성랑지

     

     

     

     

     

     

    ▲ 뒤돌아본 의상봉, 용출봉, 용혈봉, 증취봉, 나월봉, 염초봉

     

     

     

     

     

    ▲ 뒤돌아본 나한봉, 나월봉, 증취봉, 용혈봉, 용출봉, 원효봉

     

     

     

     

     

     

     

    ▲▼ 청수동 암문(靑水洞 暗門)

     

    암문은 성곽에서 깊숙하고 후미진 곳에 적이 알지 못하게 만든 비상 출입구로, 북한산성에는 청수동 암문을 비롯하여 서암문·동암문·백운동 암문·용암 암문 부왕동 암문·가사당암문 등이 있다. 

     

    북한산성은 삼국시대부터 격전지로 조선시대에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외침을 당하여 한양도성을 수비방어하고자 숙종 371년(1711)에 석성으로 수축되었다. 승려 성능이 지은 「북한지」에는 북한산성의 축조과정이 기록되어 전하고 있다.

     

    1990년부터는 훼손된 대남문·대성문·대동문·보국문·용암 암문·청수동 암문 및 성벽 등을 보수하고 동장대를 복원하였다.

     

    ▲ 청수동암문의 이정표(← 의상봉 2.7km, 삼천탐방지원센터 4.2km↓, 대남문 0.3km →

     

    ▲뒤돌아본 청수동암문

     

    ▲ 문수봉 올라가기 직전의 모습

     

    ▲ 문수봉(해발 727m)

     

     

    ▲ 문수봉에서 바라본 염초봉, 노적봉, 정상 백운대, 인수봉, 만경대, 용암봉

     

    ▲ 문수봉에서 바라본 보현봉

     

     

    ▲ 문수봉에서 바라본 승가봉, 사모바위, 비봉, 관봉, 향로봉, 족두리봉

     

     

    ▲ 성곽을 따라 대남문으로 내려갑니다.

     

     

    ▲▼ 대남문(大南門)

     

    대남문은 북한산성의 가장 남쪽에 있는 성문으로 산성이 축성된 1711년에 지어졌다. 소남문이라고도 불린 대남문은 비봉 능선을 통해 도성의 탕춘대성과 연결되는 전략상 중요한 성문이다. 성문 하부는 홍예 모양으로 통로를 내고 성문을 달아 여닫을 수 있도록 했다. 상부에는 군사를 지휘하고 성문을 지키기 위한 단층의 문루가 있다. 이 문루는 소실되었던 것을 1991년에 새로 복원한 것이다.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