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노적봉 아래에 위치한 노적사

    북한산 노적사 정보

     

    노적사

     

    1711년(숙종 37)에 북한산성을 축성한 뒤, 성내의 군사요충지에 사찰 13곳을 건립하여 산성의 수비와 성곽 관리를 맡겼다. 이런 사찰을 승영사찰(僧營寺刹)이라고 하는데, 이곳에 승군을 주둔시키고 무기를 보관하는 창고를 두어 병영의 역할을 겸하게 하였다. 노적사도 승영사찰이었는데 당시에는 진국사(鎭國寺)라고 했다. 위치로 미루어 중성의 수축과 방어를 맡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북한산성 축성 과정과 현황을 정리한 '북한지'(北漢誌, 1745년 간행)에는 "진국사는 노적봉(露積峯) 아래에 있으며, 85칸으로, 승려 성능(聖能)이 창건하였다"고 기록돼 있다. 현재 경내에 있는 대웅전, 나한전, 삼성각, 종각, 요사채 등의 건물과 석불입상은 모두 최근에 지은 것으로, 옛 진국사의 모습은 남아있지 않다. 다만 경내 입구에 자리하고 있는 돌사자상만이 옛 진국사의 존재를 알려준다. 돌사자상의 몸통에는 안장이 채워져 있으며 안장 위에는 대좌가 마련되어 있다. 이 대좌에는 조선 후기에 유행한 문수보살 동자상이 모셔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북한산 노적사 여행 일자 및 여행코스

     

    1. 여행 일자 : 2025년 3월 30일 일요일 

     

    2. 산행 및 여행 장소 : 북한산 원효봉 + 백운대 + 태고사 + 노적사  

     

    3. 소재지 : 경기 고양시 덕양구 대서문길 311-35

     

    4. 사찰 관람 코스 : 노적사 입구 → 대웅전 → 동인당·나한전 → 극락전 → 범종각·보림루 → 운하교 

     

    북한산 노적사 다음지도 및 대중교통편

     

    1. 북한산 노적사 다음지도

     

     

    2. 대중교통편 : 북한산 노적사의 교통편에 대한 정보는 다음지도 노적사 길찾기를 이용하세요. 

     

    북한산 노적사 여행기 및 사진

     

    ▲ 오늘은 블랙야크알파인클럽(BAC) 챌린지 프로그램 중 하나인 '11 TEMPLE TOUR' 사찰인 태고사에 이어 노적사를 소개해드립니다. 현재 위치는 노적사 입구(←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 대동문 2.4km, 노적사 →)인데요. 오른쪽 노적사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 노적사로 올라가는 돌계단입니다. 돌계단 양쪽으로 露積寺(노적사)와 鎭國路(진국로) 표지석이 양쪽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 공덕탑(功德塔)

     

    ▲ 노적사와 노적봉입니다. 앞으로 보이는 전각은 보림루와 범종각이고 위쪽으로 대웅전이 있습니다. 

     

    ▲ 노적사 대웅전 계단을 오르기 전에 바라본 극락전(極樂殿)

     

    ▲ 범종각(梵鐘閣)과 보림루(保任樓)

     

    블랙야크 '11 TEMPLE TOUR' 인증위치인 노적사 대웅전입니다. 대웅전 앞에는 고양시 향토문화재 제 63호인 '고양 노적사 석사자상'이 있습니다.

     

    고양 노적사 석사자상(石獅子像)은 전통사찰로 지정된 북한산 노적산 대웅전 앞에 위치해 있다. 노적사의 본래 이름은 진국사로 조선 숙종 38년(1712)에 성능대사가 창건했다고 북한지 등에 기록되어 있다. 이후 일제강점기, 6.25전쟁 등으로 크게 훼손되었다가 1960년대부터 중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노적사 석사좌상은 사찰의 입구인 백운동 계곡에 있었으나 1970년대 북한산에 주둔하고 있던 군장병에게 발견되어 지금의 노적사로 옮기게 되었다. 사자상의 조각수법과 양식, 크기 등을 통해 볼 때 조선조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고개를 틀어 옆쪽을 보고 있는 모습, 머리 부분부터 목선까지 조각된 갈기, 두터운 눈썹 아래에 툭 불거진 두눈, 다문 입술 사이로 드러난 뼈드렁니 등의 표현에서 해학적인 요소를 볼 수 있다. 생김새를 볼 때 문수보살, 문수동자를 태운 좌대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노적사 석사자상은 고양지역 유일의 석사자상 이라는 점, 석상의 조각이 비교적 잘 남아 있는 점, 곳곳에 해학적인 모습이 남아 있다는 점에서 그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노적사 대웅전에서 내려다본 범종각, 보림루, 극락전

     

    ▲ 동인당(東印堂)과 부처님의 제자인 아라한을 모신 나한전(羅漢殿)

     

    ▲ 약사미륵상, 나한전과 성림당 월산 대종사 기념비입니다. 월산 대종산 기념비 오른쪽으로 부처님 진신사리탑이 있는 것 같네요.. 

     

    ▲ 대웅전에서 내려가는 계단

     

    ▲ 범종각과 보림루

     

    ▲ 보림루에서 뒤돌아본 노적사 대웅전

     

    ▲ 보림루와 범종각

     

    ▲ 공원문화유산지구 안내판

     

    전통사찰 노적사 일원은 사찰지이며, 국립공원 내 문화재 보전을 위해 '공원문화유산지구'로 지정되어 있는 곳입니다. 공원문화유산지구는 국민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탐방환경 조성을 위해 다수의 국가지정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전통사찰의 기여와 협력으로 조성되었습니다. 국민들께서는 자연환경과 전통사찰의 수행환경 및 문화유산 보호를 위해 협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 노적사 표지석과 운하교

     

    ▲ 전통사찰 노적사 표지석

     

    ▲ 오늘은 노적사 입구에서 대웅전, 동인당, 나한전, 극락전, 범종각, 보림루를 차례대로 둘러보고 운하교에서 오늘 블랙야크 '11 TEMPLE TOURE' 인증지인 노적산 탐방을 마쳤는데요.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에서 바로 올라오실 경우는 운하교부터 시작해서 노적사 입구로 내려오시면 되겠습니다.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