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남한산성 ② 동문 ~ 남문 ~ 수어장대 ~ 서문 ~ 북문 ~ 남한산성 버스정류장

    1. 산행 일시 : 2017년 1월 26일 목요일, 12:24 - 16:25  


    2. 산이름    : 남한산(522m)


    3.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4. 산행 코스 : 남한산성 버스정류장 → 북문 →  제4암문(북암문) → 동장대터 · 제3암문(봉암성 암문) → 벌봉 → 남한산 정상 → 제3암문 · 동장대터 →  제2암문(장경사신지 옹성 암문)  → 장경사  →  남장대터  → 동문 → 남문 → 영춘정 → 청량당 · 수어장대 → 서문 → 제5암문(연주봉옹성 암문)  → 북장대터 → 북문 → 남한산성 버스정류장

     

    5. 산행 거리 및 소요시간 : 10.85km(4시간 1분) = 남한산 정상까지 3.06km(1시간 14분) + 수어장대(청량산)까지 5.54km(2시간 10분) + 남한산성 정류장까지 2.25km(37분)


    남한산성 버스정류장(12:24) → 0.44km →  북문(12:32) → 1.58km → 제3암문(13:06) → 0.73km → 벌봉(13:28) → 0.31km → 남한산(13:38) → 0.69km → 제3암문(13:52)  →1.74km → 동문(14:35) → 1.89km → 남문(15:21) → 1.22km → 수어장대(청량산, 15:48)  → 0.72km → 서문(16:01) → 1.53km → 남한산성 버스정류장(16:25)


    6. 명산 순위 : 한국의 산하 인기명산 100(남한산 95위 )


    7. 남한산성 소개


    서울에서 동남쪽으로 약24km 떨어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에 위치한다. 한강과 더불어 남한산성은 삼국의 패권을 결정짓는 주요 거점이었다. 백제가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한 이후 백제인들에게 있어서 남한산성은 성스러운 대상이자 진산으로 여겨졌다. 남한산성안에 백제의 시조인 온조대왕을 모신 사당인숭열전이 자리잡고 있는 연유도 이와 무관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조선시대 남한산성은 국방의 보루로서 그 역할을 유감없이 발휘한 장소였다. 특히 조선왕조 16대 임금인 인조는 한산성의 축성과 몽진,항전이라는 역사의 회오리를 이곳 산성에서 맞고 보낸 바 있다.오늘날의 남한산성은 인조 2년(1624)부터 축성되어 인조 4년(1626)에 완공 되었으며, 산성 내에는 행궁을 비롯한 숭열전, 청량당, 지수당, 연무관 등이 들어서 수 백년의 역사를 갖고 있는 문화유산으로 자리 잡았다.



    8. 남한산 산행 지도




     경기-광주시-남한산성정류장-북문-벌봉-남한산-장경사-동문-남문-청량산-서문-북문-남한산성정류장.gpx


    9. 산행 사진


    ▲ 뒤돌아본 동문(좌익문)



    ▲▼ 가파른 성곽길을 올라갑니다.













    ▲ 남장대터


    장대란 지휘와 관측을 위해 군사적 목적으로 지은 누각 건물로 남한산성에는 5개의 장대가 있었다. 이 곳은 남장대가 있던 곳으로 성 남쪽에 있다하여 남장대라 불린다. 이 곳에는 남한산성에 주둔하던 수어청에 소속된 5영 중 전영장을 지휘하던 곳이다. 제2남옹성 바로 안쪽에 있었던 장대로 주변 지형을 보더라도 장대가 위치할 입지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1788년 부윤 이태영이 수어장대와 같이 이층으로 고치고 타운루라는 편액을 걸었으나, 지금은 둥글게 잘 다듬어진 주춧돌만 남아있다. 남장대가 있는 이 지역은 제2남옹성치를 설치하여 장대 앞의 면적을 넓힘과 동시에 3개의 남옹성을 설치한 점 등을 고려해 볼 때, 전략적으로 중요한 장대임을 알 수 있다. 


    ▲ 제2남옹성치


    치는 성벽의 일부를 밖으로 돌출시켜 성벽으로 접근하는 적은 입체적으로 공격할 수 있도록 한 시설물 중의 하나로 남한산성에는 모두 다섯 개의 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중 본성에 4개, 봉암성에 1개가 있다. 제2남옹성치는 남장대 바로 앞에 설치되어 있으며, 남한산성에 설치된 치 중 가장 규모가 크다. 남한산성은 대부분 성벽이 굴곡이 심하여 치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으나 남쪽은 지형이 완만하고 성벽의 굴곡이 약하여 방어력을 높이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 제2남옹성


    옹성은 일반적으로 성문을 보호하기 위해 성문 밖으로 한 겹의 성벽을 더 돌려쌓은 이중의 성벽을 말한다. 그러나 남한산성의 옹성은 성벽으로 접근하는 적을 3면에서 입체적으로 공격하고, 요충지에 대한 거점 확보를 위해 성벽에 덧대어 설치한 시설물로 다른 성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남한산성에는 5개의 옹성이 있는데,이 중 3개의 옹성이 산성 남쪽에 완만한 지형을 보완하고 신남성으로부터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제2남옹성은 이 3개 중 중앙에 있는 두 번째 옹성이다. 제2남옹성는 둘레가 318m이며, 다른 옹성과는 달이 이중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색이다. 옹성 끝에는 포대가 있는데, 그곳으로 들어가는 홍예문이 있으며, 포대는 동·서·남 3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성과 연결되는 지점에는 전투시에 성내로 출입할 수 있도록 암문을 설치하였다. 남한산성에 설치된 옹성 중 규모가 가장 크다.


    ▲ 제2남옹성치에서 바라본 성남 검단산




    ▲▼ 남문(南門, 至和門)


    남한산성에는 동·서·남·북에 4개의 대문이 있는데, 남문은 남한산성에 있는 4대문 중 가장 크고 웅장한 중심문으로 현재에도 출입이 가장 많은 곳이다. 선조 때의 기록을 보면 동문, 남문, 수구문의 세 문을 수축하였다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남문은 인조 2년 수축되기 이전부터 이미 있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남문은 정조 3년 성곽을 보수할 때 개축하고 지화문이라 하엿다. 1976년 문루를 복원하였고 2009년 정조의 글씨를 집자하여 전면에 현판을 설치하였다. 병자호란으로 인조가 처음 남한산성에 들어올 때 바로 이 문을 통해서 들어왔다. 










    ▲ 영춘정







    ▲ 수어장대(좌)와 청량당(우)




    ▲▼ 수어장대(청량산)


    장대란 지휘관이 올라서서 군대를 지휘하도록 높은 곳에 지은 건축물이다. 수어장대는 남한산성의 서쪽에 자리잡고 있는 장대로서 남한산성에 세워졌던 5개의 장대 중 현존하는 유일한 건물이다. 


    ▲ 무망루(無忘樓)


    ▲ 청량당


    청량당에는 이회와 그이 처첩에 관한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이회는 조선시대 남한산성을 축성할 때, 동남쪽 부분을 맡았는데 경비를 탕진하고 공사에 힘쓰지 않아 기일 내에 공사를 마치지 못하였다는 억울한 모함을 받게 되어 처형당한다. 그의 처첩도 남편의 성을 쌓는 일을 돕기 위해 삼남지방에서 축성자금을 마련하여 돌아오는 길에 남편의 소식을 듣고 강물에 투신 자살하였는데 그 후 그의 무고함이 밝혀져 서장대 앞에 사당을 지어 그와 그의 처첩의 넋을 달래게 하였다. 


    ▲ 왼쪽의 길이 수어장대로 올라가는 길입니다





    ▲▼ 서문(우익문)


    서문은 산성의 북동쪽 모서리 부분의 해발 450m 지점에 위치하며 개구부와 문루로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는 내외면이 반원형의 홍예식이다. 외면 홍예 안쪽에는 2짝의 목재판문을 설치하였다. 판문의 문짝에는 방형 철엽을 서로 겹치도록 부착하였다. 대문을 지탱하는 문지두리는 석재로 위, 아래에서 지탱하도록 되어 있고, 양측벽에는 장군목을 끼워 빗장을 지를 수 있도록 장방형 홍을 파놓았다. 서쪽 사면의 경사가 급해 이곳에서 물자를 이송하기는 어렵지만 광나루나 송파나루 방면에서 산성으로 진입하는 가장 빠른 길이다. 서문은 산성의 초축시기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정조 3년 개축하여 우익문이라 칭하였다. 




    ▲ 매탄터



    ▲▼ 제5암문(연주봉옹성 암문)


    암문은 적의 관측이 어려운 곳에 설치한 성문으로, 일종의 비밀 통로이기 때문에 크기도 작고, 적에게 쉽게 식별될 수 있는 시설도 설치하지 않았다. 이 암문은 연주봉옹성으로 연결되는 통로로 서쪽에는 성벽에서 2m 정도 돌출된 치가 있고 북쪽으로는 직선길이 150m 정도의 연주봉옹성이 연결된다. 개구부 외부는 홍예식이고 내부는 평거식이다. 통로의 길이는 5m 정도로 천장은 장대석 5매로 덮여 있다. 





    ▲ 북장대터


    장대란 지휘와 관측을 위해 군사적 목적으로 지은 누각 건물로 남한산성에는 5개의 장대가 있었다. 이곳은 북장대가 있던 곳으로 '성의 북쪽에 있다'하여 북장대라 불린다. 북장대는 인조 2년 남한산성 수축시에 단층누각으로 지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 곳에는 수어청에 소속된 5영 중 중영장을 지휘하던 곳이다. 남한산성의 장대는 18세기 초에 붕괴되었고, 18세기 중엽에 이르러 남장대와 서장대는 다시 수축하였으나 북장대와 동장대는 다시 수축하지 않았다. 한봉성과 연주봉옹성의 축성으로 동장대나 북장대는 상징적인 의미만 있을 뿐 군사적인 실효성이 없어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 북문



    ▲ 뒤돌아본 북문


    ▲ 산성로터리





    ▲ 남한산성 정류장에서 산행을 마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