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도성길 3코스 : 광희문 ~ 남산 ~ 숭례문

    1. 트레킹 일시 : 2017년 2월 12일 일요일, 08:38 - 16:18

    2. 트레킹 장소 : 한양도성길 

    3.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종로구

    4. 트레킹 코스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3코스 남산(광희문 → 남산 → 숭례문) → 4코스 인왕산(숭례문 → 소의문터 → 돈의문터 → 인왕산 →  창의문) → 1코스 북악산(창의문 → 북악산(백악산) → 숙정문 → 말바위안내소 →  혜화문) → 2코스 낙산(혜화문 → 낙산 → 흥인지문 → 광희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5. 트레킹 거리 및 소요시간 : 21.04km(7시간 40분) = 3코스 6.27km(2시간 1분) + 4코스 6.01km(2시간 21분) + 1코스 4.99km(2시간 3분) + 2코스 3.77km(1시간 15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08:38) → 0.12km → 광희문(08:42) → 4.15km → 남산(10:04) → 2km → 숭례문(10:39) → 1.9 km → 돈의문터(11:06) → 2.49km → 인왕산(11:50) → 1.62km → 창의문(13:00) → 0.81 km → 북악산(13:31) → 1.16km → 숙정문(13:53) → 3.02km → 혜화문(15:03) → 1.46 km → 낙산(15:29) → 1.4 km → 흥인지문(15:52) → 0.91 km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16:18)

    6. 한양도성길 3코스 남산 정보

    광희문에서 숭례문까지 이어지는 구간이다. 남산(목멱산, 해발 270m)은 서울의 안산(案山)에 해당하여 조선 초기부터 국태민안(國泰民安)을 비는 국사당을 이 산에 두었다. 또 정상에는 변방의 변란을 알리는 봉수대를 설치하여 궁궐에서 직접 살필 수 있게 하였다. 한강 남북을 포괄하는 현재 남산은 서울의 행정구역상 중심부에 해당하며 정상 부근에는 서울의 지리적 중심임을 표시하는 ‘서울 중심점’이 설치되어 있다. 1921년부터 1925년까지 일제가 남산 중턱에 조선신궁을 지으면서 주변 성벽을 대부분 파괴했으나 1970년대 이후의 성곽 보존 · 정비 사업과 1990년대 중반 남산 제 모습 찾기 사업을 통해 현재는 옛 모습을 상당 부분 회복하였다.



    7. 한양도성길 정보

    한양도성은 조선왕조 도읍지인 한성부의 도심의 경계를 표시하고 그 권위를 드러내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성이다. 태조 5년(1396), 백악(북악산) · 낙타(낙산) · 목멱(남산) · 인왕의 내사산(內四山) 능선을 따라 축조한 이후 여러 차례 개축하였다. 평균 높이 약 5~8m, 전체 길이 약 18.6km에 이르는 한양도성은 현존하는 전 세계의 도성 중 가장 오랫동안(1396~1910, 514년) 도성 기능을 수행하였다. 

    한양도성에는 4대문과 4소문을 두었다. 4대문은 북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숙정문 · 흥인지문 · 숭례문 · 돈의문이며 4소문은 서북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창의문 · 혜화문 · 광희문 · 소의문이다. 이 중 돈의문과 소의문은 멸실되었다. 또한 도성 밖으로 물길을 잇기 위해 흥인지문 남쪽에 오간수문과 이간수문을 두었다. 

    한양도성은 순성길을 따라 하루에 돌아볼 수 있지만, 내사산을 중심으로 한 백악·낙산·남산(목멱산)·인왕산 구간과 도성이 멸실된 흥인지문·숭례문 구간 등 6구간으로 나누어 걷기를 추천한다.
    8. 트레킹 지도 및 한양도성길 GPX 파일 다운로드

    9. 트레킹 사진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3번 출구(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7가)에서 한양도성길 스탬프투어를 시작합니다.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3번 출구에서 바라본 광희문



    ▲▼ 광희문(光;熙門)


    한양도성의 동남쪽 문으로, 시구문 또는 수구문이라고 불렀다. 일제 강점기에 일부 무너지고 1960년에 퇴계로를 내면서 반쯤 헐렸던 것을 1975년 본래의 자리에서 남쪽으로 15m 떨어진 이곳에 고쳐 지었다.



    ▲광희문화마을 달빛로드 탐방 안내도



    ▲ 한양도성 묵멱산(남산)지역 ↑700m


    ▲ 흥인지문 지역 39









    ▲ 남산 지역 44











    ▲ 남산 지역 48









    ▲ 남산공원(좌)과 국립극장(우)


    ▲ 남산공원


    ▲ 국립극장


    ▲ 남산공원 안내도



    ▲▼ 성벽을 따라 올라갑니다.











    ▲▼ 남산타워








    ▲ 남산에서 바라본 청계산, 관악산



    ▲ 남산에서 바라본 청계산, 관악산, 삼성산





    ▲ 서울의 10대 한류명소 <별에서 온 그대> 촬영지



    ▲ 남산공원의 팔각정



    ▲▼ 목면산(남산) 봉수대 터


    목멱산 봉수대 터는 서울에 있다고 하여 경봉수라고도 불렸었는데 전국의 봉수가 집결되었던 곳이다. 봉수제도는 신호체계에 따라 연기나 불을 피워서 변방의 긴급한 사정을 중앙까지 전달하여 알리며, 해당 지역의 주민들에게도 알려 빨리 대처하도록 하는 일종의 통신수단이다. 멀리 바라보기 좋은 높은 산봉우리에 봉수대를 설치하여 불을 피워서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를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전국 각지에서 오는 봉수는 남산에서 집결하였고, 남산 봉수대는 제1봉수대부터 제5봉수대까지 다섯 곳의 봉수대가 있었다. 제1봉수대는 함경도-강원도-양주 아차산, 제2봉수대는 경상도-충청도-광주 천림산,  제3봉수대는 평안도 강계-황해도-한성 무악 동봉, 제4봉수대는 평안도 의주-황해도 해안-한성 무악 서봉, 제5봉수대는 전라도-충청도-양천 개화산에 이르는 봉수를 받았다. 이곳은 1933년에 김정호의 <청구도> 등의 관련 자료를 참고해서 남산의 다섯 개 봉수대 중 하나를 복원한 것이다.


    ▲ 남산봉수대 전통문화 공연




    ▲▼ 잠두봉포토아일랜드(북측지점)



    ▲ 잠두봉포토아일랜드(북측지점)에서 바라본 백범광장, 안산, 인왕산


    ▲ 잠두봉포토아일랜드(북측지점)에서 바라본 인왕산, 북악산(백악산), 북한산, 도봉산



    ▲ 잠두봉포토아일랜드(북측지점)에서 바라본 북한산, 도봉산, 수락산, 불암산



    ▲ 수선전도와 서울한양도성 전도


    수선전도(首善全圖)는 조선 순조 24년(1824)에 김정호가 제작하였다고 하는 서울 지도. 가로는 67.5cm이고 세로는 82.5cm이다.


    ▲ 안중근 상


    ▲ 호현당


    ▲ 백범김구선생 상



    ▲▼ 성재 이시영선생 상




    ▲▼ 숭례문(국보 제 1호)


     숭례문은 조선 태조 7년(1398)에 한양도성의 남쪽 대문으로 세워졌다. 그 후 세종 30년(1448), 성종 10년(1479), 고종 연간에 큰 수리가 있었다. 조선시대에 는 매일 밤 인정(10시 무렵)에 문을 닫았다가 다음 날 아침 파루(4시 무렵)에 문을 열었는데, 이때 문루에 종을 달아 그 시간을 알렸다. 장마나 가뭄이 심할 때는 임금이 몸소 기청제와 기우제를 지내는 등 숭례문에서는 국가의 중요한 행사가 거행되곤 하였다.

     석축 위에 세워진 중층 누각은 장식이 간결하고 내부구조가 견실하여 조선 초기의 건축기법을 잘 간직하고 있다. 1907년부터 1908년 사이에는 좌우 성곽이 철거되었으며, 한국전쟁 때 피해를 입어 1961년부터 1963년 사이에 해체보수를 하였다. 2008년 2월 10일 방화 사건으로 크게 훼손되어 2013년 4월까지 복구하였으며, 이때 좌우 성곽도 함께 복원하였다. 




    ▲ 숭례문 초소 우측의 스탬프 찍는 곳



    ▲ 숭례문과 숭례문 초소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