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28구간 정보
1. 이화령(梨花嶺)
이화령(548m)은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과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사이에 있는 고개로 조령산과 백화산 사이에 위치한 한강과 낙동강의 분수령이기도 하다. 고개가 가파르고 험하여 산짐승의 피해가 많으므로 전에는 여러 사람이 어울려서 함께 넘어갔다 하여 이우릿재라 아였으나 그 후 고개 주위에 배나무가 많아서 이화령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화령에서 깃대봉 구간은 도상거리는 짧은 편이지만 험준한 암반지역이 많기 때문에 실거리가 매우 길고 안전사고 위험도 매우 높은 지역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화령은 일제 강점기인 1925년 도로개설로 단절되었으나 87년 만인 2012년 산림청과 행정안전부의 주관하에 생태축을 연결하였다.
2. 조령산(鳥嶺山)
조령산은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과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해발고도 1,017m의 한강과 낙동강을 가르는 분수령이 되고 있는 산이다. 조령산에서 남쪽의 백화산 사이의 고개가 이화령, 북쪽의 문경새재라 불리는 조령 제3관문(조령관)이 위치한다. 이를 통해 영남지방과 중부지방이 연결되어 교통의 요지였을 뿐 아니라, 험난한 지세를 이용할 수 있어 군사상의 요충지이기도 하였다. 현재 이 일대는 문경새재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조령산의 주능선 상에는 정상 북쪽으로 신선봉과 치마바위봉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암봉과 암벽 지대가 많다. 능선 서편으로는 수옥폭포와 용송골, 절골, 심기골 등 아름다운 계곡이 발달되어 있다.
백두대간 28구간 산행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산행 일시 : 2025년 5월 31일 토요일, 09:09 - 16:59
2. 산행 장소 : 조령산, 신선암봉, 깃대봉
3.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연풍면, 경북 문경시 문경읍
4. 산행 코스 : 이화령 → 조령샘 → 조령산 → 마당바위 갈림길 1 → 마당바위 갈림길 2 → 신선암봉 → 꾸구리바위 갈림길 → 928봉 → 문경새재 제2관문 갈림길 → 깃대봉 → 문경새재 제3관문 → 조령 표지석 → 문경새재 제3관문 → 문경새재 제2관문 → 꾸구리바위 → 마당바위 → 문경새재 제1관문 → 문경새재 2주차장
5. 산행 거리 및 소요시간 : 16.7km(7시간 50분, *식사 시간 1시간 정도 포함)
이화령(09:09) → 3.03km → 조령산(10:18) → 1.64km → 신선암봉(11:10) → 3.24km → 깃대봉(13:17) → 0.96km → 문경새재 제3관문(13:53) → 7.83km → 문경새재 2주차장(16:59)
백두대간 28구간 산행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백두대간 28구간 산행기 및 사진
▲ 백두대간 이화령에서 백두대간 28구간 산행을 시작합니다. 오늘은 산행을 문경새재 제3관문(조령관)에서 끝내지 않고 문경새재 2주차장까지 내려옵니다.
▲ 왼쪽 등산로 입구로 진행합니다.
▲ 요강원 갈림길(← 조령산 1760m, ↓ 이화령 1200m, 요광원 800m →)에서 왼쪽의 조령산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 삼거리 갈림길(← 이화령 1090m, ↓ 이화령 1200m, 조령산 1680m →)에서 조령산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 이정표(← 조령산 800m, ↓ 이화령 2080m)
▲ 조령샘
▲ 조령샘에서 물 한 모금 마시고 출발합니다.
▲ 조령산 3지점(← 절골 2700m, ↓ 이화령 2420m, 조령산 460m →)
▲ 헬기장
▲ 조령산 정상(↓ 이화령 2880m, 신선암봉 1680m·3관문 4980m ↑)
▲ 블랙야크 명산100 인증지인 조령산(1,017m) 정상석입니다.
▲ 조망처(← 신선암봉 1530m, ↓ 이화령 3030m·조령산150m)
▲ 조망처에서 바라본 신선암봉, 신선봉, 깃대봉, 마패봉, 928봉 그리고 멀리 월악산
▲ 조령산 10지점, 마당바위 갈림길 1(↓ 조령산 380m, 신선암봉 1300m ↑, 마당바위 2400m →)
▲ 마당바위 갈림길 2(← 절골 2300m, ↓ 조령산 760m, 신선암봉 920m ↑, 마당바위 2200m →)
▲ 목계단
▲ 뒤돌아본 조령산
▲ 블랙야크 백두대간 28구간 인증지인 조령산 신선암봉(937m) 정상석입니다.
▲ 신선암봉(← 한섬지기 3.6km·신풍리(절골) 4.5km, ↓ 조령산 1.6km, 깃대봉 3.6km ↑)의 이정표
▲ 올라가야 할 928봉과 깃대봉과 928봉 오른쪽으로 보이는 봉우리는 주흘산 부봉입니다.
▲ 꾸구리바위 갈림길(← 한섬지기 4.0km, ↓ 신선암봉 0.3km, 깃대봉 3.2km ↑, 꾸구리바위 2km →)
▲ 조령산의 명품 소나무
▲ 암릉 밧줄 구간을 내려갑니다.
▲ 암릉 밧줄 구간을 잡고 위로 올라갑니다.
▲ 뒤돌아본 암릉구간
▲ 928봉
▲ 928봉 정상
▲ 바위 위로 올라서서 뒤돌아본 장면입니다.
▲ 신선암봉 12지점에서 왼쪽으로 조금 더 이동하면 밧줄로 오르는 암릉 구간이 나옵니다.
▲ 암릉 아래에서 밧줄을 붙잡고 위로 올라갑니다. 사진 상으론 밧줄이 잘 안 보이는데 튼튼한 밧줄이 있습니다.
▲ 밧줄을 잡고 올라서서 뒤돌아본 장면입니다.
▲ 무명봉(↓ 조령산 3.34km)
▲ 통천문처럼 보이는데요. 들어가지 마시고 왼쪽으로 이동하면 올라가는 밧줄이 있습니다.
▲ 밧줄구간을 올라서서 뒤돌아본 장면입니다.
▲ 신선암봉 11지점
▲ 주흘산 부봉, 영봉, 주봉
▲ 계단을 오르면 문경새재 제2관문 갈림길(↖ 문경새재(제3관문) 2.2km, ↓ 신선암봉 1.5km(암릉 구간 1.2km), 문경새재 제2관문 1.8km →)입니다.
▲ 신선암봉 10지점의 무명봉
▲ 삼각점봉
▲ 깃대봉입구 갈림길(↓ 조령산, 깃대봉 ↑, 제3관문 →)에서 깃대봉을 다녀옵니다.
▲ 깃대봉(835m)(← 한섬지기 3.6km, 조령산관문 0.9km·신선암봉 3.5km →)
▲ 깃대봉입구 갈림길로 돌아와서 (← 제3관문, ↓ 깃대봉, 조령산 ↑)에서 제3관문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 문경새재 제3관문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 앞의 문경새재 제3관문(조령관)(← 고사리주차장 2.0km, ↓ 조령산 5.0km , 마패봉 0.9km ↑, 제2관문 3.5km →)을 거쳐 조령 표지석까지 다녀와서 문경새재 2주차장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 백두대간 조령 표지석
▲ 문경새재 제3관문 방향으로 되돌아나갑니다.
▲ 금의환향길 갈림길(진행방향 ↑, 금의환향길 →)
▲ 동화원(← 부봉 2.2km·마패봉 3.0km, ↓ 제3관문 1.2km, 제2관문 2.3km ↑)
▲ 이진터
▲ 색시폭포 갈림길(↓ 동화원 1.3km, 제2관문 1.2km ↑, 색시폭포 0.3km →)
▲ 왼쪽의 바위굴을 잠시 다녀옵니다.
▲ 바위굴
▲ 문경새재 아리랑비
▲ 양쪽으로 표지석(← 부봉 2.5km, 진행방향 ↑, 조령산 3.6km →)이 있는데요. 참고로 조령산의 문경새재 제2관문 갈림길에서 하산하게 되면 오른쪽 표지석 방향으로 내려오게 됩니다.
▲ 부봉 갈림길(← 영남대로 옛 과거길, 진행방향 ↑)
▲ 문경새재 제2관문(조곡관)
▲ 조곡교
▲ 문경새재 제2관문과 조령교를 지나면 제2관문 갈림길(← 주흘산 5.0km, ↓ 제3관문 3.5km, 제1관문 3.0km →)이 나옵니다.
▲ 조곡폭포
▲ 산불됴심 표지석
▲ 꾸구리바위
▲ 교귀정
▲ 용추
▲ 교귀정 소나무
▲ 오른쪽으로 문경새재 주막이 있습니다. 입구에서 1,000원을 주면 엽전 한 냥을 주는데요. 엽전 한 냥으로 떡메치기 나 오미자음료, 커피, 문경 전통주 중 한 잔을 마실 수 있습니다. 저는 여기서 시원한 오미자음료를 한 잔 마셨습니다.
▲ 오른쪽 마당바위를 잠시 다녀옵니다.
▲ 마당바위
▲ 앞쪽에 표지석(진행방향 ↑, 조령산 3km →)이 있습니다.
▲ 조령원터(左)
▲ 지름틀바우
▲ 왕건교
▲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 문경새재 제1관문(주흘관)(← 주흘산 4.5km, ↓ 제2관문 3km, 주차장 1.3km ↑)
▲ 뒤돌아본 문경새재 과거길 표지석
▲ 문경새재 박물관(左)
▲ 광성식당에서 더덕산채정식으로 늦은 식사를 마치고, 문경새재 2주차장에서 백두대간 28구간 조령산, 신선암봉 산행을 마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