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성지 목정굴로 유명한 금선사

    금선사 정보

     

    금선사 대적광전

     

    금선사는 고려와 조선이 왕조교체기 때 무학(無學)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다. 무학대사는 조선의 도읍을 정하고자 삼각산을 살피던 중, 지금의 금선사 터에 삼각산의 정기가 서려있고, 부처님이 상주하시며 중생들을 제도하는 형상과 같다고 하여 절을 짓고, 금선(金仙:금빛의 신선 즉, 부처)사라고 하였다. 조선시대에 목정굴이 관음기도성지로 알려졌다. 또한 금선사 농산스님이 정조의 왕세자인 순조로 환생하였다는 설화도 전해지는데, 이를 계기로 1791년 정조의 명으로 원찰이 되기도 하였다. 설화에 의하면 금선사의 농산스님은 조선후기 사찰에 가해지는 각종 국역에 의해 피폐해지는 불교를 구해낸 인물로 묘사되어 있어 사찰의 규모는 작아도 위상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금선사는 조선후기 사대부 문인들(신정하, 조수삼, 박규수 등)과 스님들이 활발하게 교유한 장으로도 가능하였다. 특히 추사 김정희의 아우 김명희와 초의스님과는 교유는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처럼 창건 이래로 신령한 기운과 문학이 숨쉬는 명찰로 법등을 잇다가 일제강점기에 관리소홀로 인하여 퇴락하게 되었다. 이후 1957년에 이를 안타깝게 여긴 도공 스님이 옛터에 중건하고, 법안 스님이 주석하며 1996년에 목정굴을 복원한 것을 필두로 대적광전, 삼성각, 반야전, 미타전, 설선당, 적묵당, 범종루 등의 각 전각과 요사를 신증축하여 현재 가람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금선사 여행 일자 및 여행코스

     

    1. 여행 일자 : 2025년 5월 11일 일요일 

     

    2. 산행 및 여행 장소 : 북한산 기자능선, 향로봉 + 금선사  

     

    3. 소재지 : 서울시 종로구 비봉길 137

     

    4. 사찰 관람 코스 : 금선사 입구 →  금선사 일주문(응향각) → 범종각 → 설선당 → 반야전 → 안심당 → 심검당/적묵당 → 미타전과 연화당 → 홍예교 → 삼성각 → 대적광전 → 108배 계단 → 해탈문 → 범종각 → 목정굴 → 목정굴 입구

     

    금선사 전각 배치도 및 대중교통편

     

    1. 금선사 전각배치도 및 다음지도

     

    금선사 전각배치도

     

     

     

     

    2. 대중교통편 : 금선사의 교통편에 대한 정보는 다음지도 금선사 길찾기를 이용하세요. 

     

    금선사 여행기 및 사진

     

    금선사 입구

    ▲ 블랙야크 북한산 챌린지 360의 12 PEAKS CHALLENGE 인증지인 향로봉 인증을 마치고, 하산길에 11 TEMPLE TOUR 인증지인 금선사를 들렸습니다. 금선사 입구(← 비봉탐방지원센터 0.2km, ↓ 비봉 1.4km, 금선사 0.1km)에서 금선사로 올라갑니다. 

     

    석상

    ▲ 길 양쪽의 석상

     

    일주문

    ▲ 삼각산 금선사 일주문(三角山 金仙寺 一柱門)

     

    응향각

    ▲ 응향각(凝香閣, 북카페) 

     

    범종각

    ▲ 금선사 범종각

     

    응향각과 일주문

    ▲ 뒤돌아본 응향각과 일주문

     

    범종각 이정표

    ▲ 범종각의 이정표입니다. 금선사 경내를 둘러보고 목정굴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정면으로 보이는 자연석 중 삼매부처님 바위가 있다고 하네요. 저는 오늘 인연이 없었는지 지나치고 말았습니다. 금선사 홈페이지 삼매부처님에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토지불사공덕비

    ▲ 오른쪽으로 금선사사적 및 토지불사공덕비 등이 있고 앞의 전각이 설선당입니다. 

     

    반야전

    ▲ 설선당(종무소)에서 바라본 반야전(般若殿)

     

    설선당

    ▲ 뒤돌아본 설선당(設禪堂)으로 1층은 종무소, 2층은 설선당, 지하는 공양간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반야전과 해행당

    ▲ 반야전(般若殿)과 해행당(解行堂)

    반야전(般若殿)은 원래의 대웅전 자리에 2층으로 증축하고 반야전이라 하였는데 바로 대웅전(大雄殿)을 말합니다. 1층 해행당은 요사채로서 올바른 행과 참선하는 장소를 말하며 템플스테이의 전용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안심당

    ▲ 안심당(安心堂)

     

    200년 수령의 소나무

    ▲ 200년 수령의 소나무와 안심당, 반야전

     

    미타전 방향으로

    ▲ 미타전(연화당)과 적묵당(요사채)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심검당

    ▲ 심검당(尋劒堂)

     

    미타전과 연화당

    ▲ 미타전과 연화당

     

    미타전과 연화당

    ▲ 미타전(弥陀殿)과 연화당(蓮華堂)

    1층 연화당은 영가들의 영옥과 위패를 봉안하는 추모납골시설로 냉난방을 겸비한 쾌적한 공간으로 아미타부처님과 지장보살님이 내부를 장엄하고 있는 법당으로 꾸며졌습니다.
    2층 미타전은 중앙 불단 위로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좌우협시불로는 관세음보살님과 지장보살님이 아미타 후불탱으로 모셔졌으며 측면으로 영구위패단과 일반위패단이 제사를 모시기 위해 봉안되어 있습니다.

     

    적묵당

    ▲ 적묵당

     

    적묵당과 미타전

    ▲ 적묵당과 미타전

     

    홍예교

    ▲ 홍예교

     

    ▲ 약수터

     

    홍예교

    ▲ 홍예교를 건넙니다. 

     

    계곡과 약수터

    ▲ 홍예교에서 바라본 계곡과 약수터

     

    삼성각

    ▲ 삼성각(三聖閣)

     

    금선사 대적광전

    ▲ 금선사 대적광전

     

    홍예교

    ▲ 뒤돌아본 홍예교

     

    금선사 대적광전 측면

    ▲ 금선사 대적광전

     

    금선사 대적광전

    ▲ 블랙야크 북한산 챌린지 360의 11 TEMPLE TOUR 인증지인 금선사 대적광전(大寂光殿)

     

    2005년에 증축된 금선사의 중심법당으로 삼신불(三身佛) 사상에 따라 청정법신(淸淨法身) 비로자나불, 원만보신(圓滿報身) 노사나불(盧舍那佛), 천백억화신(千百億化身) 석가모니불을 삼존불로 모셨습니다. 법당 내부 천정에는 모두 천불부처님이 불화로서 모져졌으며, 모든 부처님은 고유명호가 있어 각기 다른 원력의 세계를 상징합니다.

     

    내려가는 길

     

    108배 계단

    ▲ 108배 계단을 따라 해탈문으로 내려가는 길

     

    해탈문

    ▲ 해탈문(解脫門)

     

    해우소

    ▲ 해우소(解憂所, 화장실)

     

    안심당과 반야전

    ▲ 안심당과 반야전

     

    범종각

    ▲ 범종각에서 목정굴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목정굴로 내려가는 길

    ▲ 목정굴로 내려가는 길

     

    목정굴 계단

    ▲ 목정굴로 내려가는 계단

     

    목정굴의 수월관세음보살

    ▲ 목정굴의 수월관세음보살

     

    목정굴 내부

    ▲ 목정굴 내부의 모습

     

    무학대사에 의해 창건된 금선사는 목정굴이라는 천연의 기도처가 있으니, 창건이래 많은 수행자와 기도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으며 사세를 일신하여 세간에 기도명찰로 알려져 있습니다. 창건이래, 이곳에서 수행하던 농산(聾山)스님께서 조선의 순조대왕으로 환생하신 이야기 등 많은 영험담이 전해져오고 있습니다. 훌륭한 도량, 영험한 기도처인 이 곳 목정굴, 많은 분들께서 기도하셔서 좋은 과보를 받으시기를 기원드립니다.  

     

    목정굴 외부 통로

    ▲ 목정굴에서 밖으로 나가는 통로

     

    뒤돌아본 목정굴

    ▲ 뒤돌아본 목정굴

     

    무당문

    ▲ 무당문(無堂門, 무무문)

     

    목정굴 입구

    ▲ 목정굴 입구

     

    목정굴 입구

    ▲ 목정굴 입구(↖ 금선사(목정굴), 금선사·금선사(일주문) ↑)입니다. 오늘은 북한산 기자능선, 향로봉 산행 하산길에 다녀온 북한산 금선사를 소개해드렸습니다. 북한산 금선사에서 좋은 추억 쌓으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