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정보
북한산(北漢山 Bukhansan)은 서울시의 성북구·종로구·은평구·강북구와 경기도 고양시에 걸쳐 위치한 산이다(고도:836m). 본래 한산(漢山)이라 불렸는데 ‘큰 산’이라는 뜻의‘산’을 한자로 차음 하여 표기한 것이다. 한산이란 이름은『삼국사기』,『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등에 보이며, 서울 지방의 옛 이름을 한산·북한산·북한산성·북한성·한양 등으로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북한산은 처음에는 산 이름이 아니라 서울의 옛 이름인 한산의 북쪽 지역을 가리키는 지명이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한성부에는 “양주 지경에 있다. 화산(華山)이라고도 하며, 신라 때에는 부아악(負兒岳)이라고 하였다. 평강현(平康縣)의 분수령(分水嶺)에서 잇닿은 봉우리와 겹겹한 산봉우리가 높고 낮음이 있다. 또 삼각산이 되니, 실은 경성(京城)의 진산(鎭山)이다. 고구려 동명왕의 아들 비류, 온조가 남쪽으로 나와서, 한산에 이르러 부아악에 올라가 살 만한 땅을 찾았으니, 바로 이 산이다.”라고 하여 여러 다른 이름들이 보인다. 부아악은 어머니가 어린애를 업고 있는 형상을 한자명으로 표기한 것으로 해석된다. 부아가 불의 표기이므로 부아 → 불 → 화(火) → 화(華)로 바뀌어 화산이 되었다는 해석도 있다. 그러나 화산·화악은 세 봉우리가 연꽃이 핀 것과 비슷하다 하여 연화산(蓮華山)의 준말로 쓴 것으로 볼 수도 있다.『고려사』의 삼각산 승가굴의 기록이나,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과『북한지』에 따르면 삼각산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일반화된 이름이다. 삼각산은 인수봉·백운봉·만경봉 세 봉우리가 삼각을 이루어 나란히 있는 모습 때문에 유래되었는데, 근래에까지 삼각산이란 이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조선 후기 북한산성이 축성된 내용을 기록한『북한지』가 출간된 이후 북한산이란 이름이 자연스럽게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세 봉우리 중 가장 높은 백운봉과 동쪽 인수봉(811m)은 온통 바위로 이루어졌다. 동남쪽에 솟은 만경대(801m)는 일명 국망봉(國望峰)으로, 이곳에 올라서면 만경이 한눈에 들어오는 바위라는 뜻으로 붙은 이름이다. 만경대 서남쪽에는 임진왜란 때 왜적들이 노적더미로 의심하였다는 노적봉(718m)과 진흥왕순수비가 있어 이름 붙여진 비봉(527m)이 있다.
북한산 산행 코스, 거리 및 소요시간
1. 산행 일시 : 2025년 5월 11일 일요일, 09:59 - 12:54
2. 산행 장소 : 북한산 기자능선, 향로봉, 금선사
3. 소재지 : 서울 은평구 진관동, 종로구 구기동
4. 산행 코스 : 신도중학교 버스정류장 → 기자촌 사거리 → 관리사무소 입구 → 기자촌배수지 앞 → 기자촌공원지킴터 → 대머리바위 → 발가락바위 → 기자봉 → 진관봉 → 삼각점봉 → 향로봉삼거리 → 향로봉 → 향로봉삼거리 → 북한 61-04 → 금선사 → 비봉공원지킴터 → 이북5도청 → 이북5도청 버스정류장
5. 산행 거리 및 소요시간 : 5.32km(2시간 55분)
신도중학교 버스정류장(09:59) → 1.24km → 기자촌공원지킴터(10:26) → 1.58km → 향로봉(11:40) → 1.5km → 금선사(12:34) → 0.27km → 비봉공원지킴터(12:43) → 0.73km → 이북5도청 버스정류장(12:54)
북한산 산행지도 및 gpx 파일 다운로드
북한산 산행기 및 사진
▲ 은평노인종합복지관.신도중학교(12195) 버스정류장(서울 은평구 진광동)에서 북한산 기자능선, 향로봉, 금선사 산행을 시작합니다.
▲ 기자촌 사거리에서 횡단보도를 건너 오른쪽으로 올라갑니다. 횡단보도를 건넌 이유는 은평뉴타운 디에트로 3-14BL 아파트 건설공사 때문입니다.
▲ 관리사무소 입구(← 북한산 둘레길 8구간 256m·잔디광장 88m, ↓ 기자촌사거리 547m, 게이트볼장 136m·관리사무소(화장실)
28m ↑)에서 왼쪽으로 올라갑니다.
▲ 기자촌배수지 앞(← 북한산 둘레길(진관동)·진관사 입구 1.3km, ↓ 북한산 둘레길(구기동)· 불광중학교 2.4km, 향로봉 2.0km ↗)에서 향로봉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 철탑
▲ 북한산국립공원 기자촌공원지킴터
▲ 기자능선
▲ 앞쪽의 쉼터가 기자능선안전쉼터(↓ 기자촌공원지킴터 1.0km, 향로봉 1.0km ↑)입니다.
▲ 뒤돌아본 기자능선의 대머리바위
▲ 기자능선 발가락바위로 올라가는 길
▲ 뒤돌아본 기자능선의 발가락바위
▲ 바위 구간을 올라갑니다.
▲ 올라서서 뒤돌아본 기자능선
▲ 기자봉(카카오맵 표기)에서 바라본 향로봉
▲ 북한 62-03(← 진관공원지킴터 1.6km, ↓ 기자촌공원지킴터 1.3km, 향로봉 0.7km ↑, 선림공원지킴터 1.3km →)
▲ 뒤돌아본 기자봉(左)과 대머리바위(右)
▲ 진관봉(카카오맵 표기)
▲ 이정표(↓ 기자공원지킴터 1.6km, 사모바위 1.5km·향로봉 0.4km ↑)
▲ 암봉
▲ 삼각점봉(中)과 향로봉(右)
▲ 당겨본 향로봉 정상의 모습
▲ 삼각점봉으로 올라갑니다.
▲ 삼각점봉에서 바라본 비봉, 관봉, 향로봉
▲ 뒤돌아본 삼각점봉
▲ 향로봉삼거리(← 대남문 2.9km·사모바위 1.1km·비봉 0.5km, ↓ 기자공원지킴터 2.0km, 족두리봉 1.7km ↑, 향로봉 →)
▲ 블랙야크 북한산 챌린지 360의 12 PEAKS CHALLENGE 인증지인 북한산 향로봉(535m) 표지목입니다. 이 표지목이 있는 곳이 정상은 아니고 조금 더 앞으로 진행하면 향로봉 정상입니다.
▲ 북한산 향로봉 정상입니다.
▲ 북한산 향로봉에서 바라본 기자능선
▲ 북한산 향로봉 아래에서 바라본 족두리봉
▲ 북한산 향로봉삼거리(← 기자공원지킴터 2.0km, ↓ 향로봉, 대남문 2.9km·사모바위 1.1km·비봉 0.5km ↑, 족두리봉 1.7km →)로 돌아왔습니다.
▲ 북한산 관봉
▲ 북한산 비봉
▲ 북한 61-04( ← 진관공원지킴터 2.3km, ↓ 향로봉 0.3km, 사모바위 0.8km ↑, 비봉탐방지원센터 1.3km →)
▲ 이정표(← 비봉탐방지원센터 0.8km, ↓ 비봉 0.8km, 상명대학교 2.0km ↑)
▲ 북한 01-01(해발 317m)
▲ 화장실
▲ 화장실을 지나면 바로 금선사 갈림길(← 비봉탐방지원센터 0.2km, ↓ 비봉 1.4km, 금선사 0.1km ↑)입니다. 금선사로 올라갑니다.
▲ 금선사 일주문
▲ 블랙야크 북한산 챌린지 360의 11 TEMPLE TOUR 인증지인 금선사 대적광전입니다.
▲ 금선사 사찰을 관람하고 범종각(↓ 반야전, 일주문 ↑, 목정굴 →)에서 목정굴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 금선사 목정굴
▲ 뒤돌아본 목정굴
▲ 금선사 목정굴 입구(↖ 금선사 목정굴, ↓ 진행방향, 금선사·금선사(일주문) ↗)
▲ 비봉공원지킴터(↓ 대남문 3.8km·비봉 1.6km, 진행방향 ↑)
▲ 뒤돌아본 연화사와 비봉공원지킴터
▲ 왼쪽으로 내려갑니다.
▲ 구기동 삼익빌라 사거리에서 오른쪽에서 내려갑니다.
▲ 이북5도청
▲ 이북5도청(01279) 버스정류장에서 북한산 기자능선, 향로봉, 금선사 산행을 마칩니다. 참고로 이북5도청 버스정류장에서 7212번 버스를 승차 시 방향(은평차고지 수색 방면 또는 옥수동 종로 방면)을 잘 보시고 타셔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03.31-서울·고양 북한산 : 북한산성 입구 ~ 원효봉 ~ 백운대 ~ 노적사 ~ 대서문 ~ 북한산성 입구
2025.04.06-서울·고양 북한산 : 북한산성 입구 ~ 의상봉 ~ 나한봉 ~ 삼천사 ~ 하나고 버스정류장